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독자편지
‘시초 축적’ 개념에 대한 김종현 동지의 독자편지를 보고

 이 기사를 읽기 전에 133호 독자편지 ‘자본주의와 인종차별’ 기사의 '시초 축적' 개념에 대한 나의 의견을 읽으세요.

김종현 동지는 ‘자본주의와 인종차별’ 기사에 대한 독자편지에서 시초 축적의 핵심은 “자본-임노동 관계의 확립”이라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도 김종현 동지가 제기한 시초 축적의 핵심 개념에는 동의한다. 모든 수탈이 시초 축적이 되는 것은 아니고, 땅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자신의 노동을 팔아야만 살아 갈 수 있는 노동자와 이를 통해 잉여가치를 벌어들이는 자본가라는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확립되는 과정을 시초 축적의 핵심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김종현 동지가 이정원 동지의 기사를 보고 시초 축적 개념이 잘못됐다고 제기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본다. 김종현 동지는 이정원 동지가 기사에서 “노예로부터 추출한 이윤의 상당 부분은 운하·철도·선박 같은 산업 생산에 투자됐다. 마르크스는 이 과정을 ‘자본의 시초 축적’이라고 불렀다” 하고 서술한 부분을 두고 곧장 이정원 동지의 시초 축적 개념이 데이비드 하비 식 시초 축적 개념에 가까운 것 같다며 논지를 전개했다. 그러나 이렇게 직결시키는 것은 비약이다.

노예로부터 추출한 부가 자본의 축적 과정에 이용된 것이 자본주의 시초 축적 과정의 일부였다는 점은 마르크스도 서술한 바 있다. “리버풀은 노예 무역에 기초해 크게 성장했다. 노예 무역은 이 도시의 시초 축적의 방법이었다. … 노예 무역은 해군과 선원에게 큰 고용기회를 창조했으며, 영국의 공업에 큰 수요를 창출했다.”(《자본론》 1권)

자본가들은 노예 무역을 통해 축적한 부를 더 많은 노동자들을 고용해 산업을 확대하는 데 활용한 것이다. 다시 말해 노예 무역이라는 강탈에 의한 축적은 노동자 계급이라는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따라서 노예 무역은 자본주의 시초 축적 과정의 일부였다.

노예 무역을 시초 축적 과정의 일부로 보는 것이 곧장 데이비드 하비처럼 “강탈에 의한 축적”을 시초 축적의 핵심으로 보는 것과 등치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김종현 동지는 이정원 동지가 쓴 글의 내용을 과도하게 추론해 허수아비 때리기 식 비판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