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 홈
  • 국제
  • 동아시아
  • 경제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이론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과 해방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마비돼 버린 자본주의와 지배자들

알렉스 캘리니코스 , 번역 김용욱
레프트21 62호 | 기사입력 2011-08-10 13:22 |
주제: 경제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레온 트로츠키는 그의 걸작인 《러시아 혁명》에서 마지막 차르[러시아 황제]인 니콜라스 2세를 탁월하게 묘사했다. 트로츠키는 차르의 약점, 탐욕, 그리고 어리석음이 정권의 몰락을 예고하는 증상으로 진단했다.

지난 몇 주 동안 미국과 유럽 지배자들이 벌인 한심한 작태를 보면서 우리는 똑같이 말할 수 있다.

이번 8월 11일로 세계적 금융·경제 위기가 발생한 지 정확히 4년이 된다. 세계증시 폭락은 이 위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잘 보여 준다.

주류 언론들은 현 주식 시장 붕괴를 2008년 9월 15일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 발생한 금융공황과 비교하고 있다. 사실, 이 두 사건은 동일한 위기에 속하는 서로 다른 두 단계일 뿐이다.

이 위기는 2008년 미국과 유럽 은행시스템이 거의 붕괴하면서 시작됐다. 2008~2009년 겨울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은행에 구제금융을 제공했고, 세계경제 성장을 촉진하려고 추가 재정을 편성했다.

덕분에 세계경제는 불황에서 상당히 빨리 회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진 자본주의의 두 역사적 중심지인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기회복은 유지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그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도 보통 사람들이 막대한 빚을 갚느라 허덕이게 됐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그들은 적게 지출해야 했고, 그 결과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줄었다. 대서양 양쪽에서 모두 소비자 지출이 침체됐고, 미국 주택 시장은 1930년대 대공황 때보다 더 상태가 나빴다.

물론 예외가 있다. 예컨대, 독일은 중국을 상대로 수출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다. 중국은 2008~2009년 정부의 거대한 경기부양 정책 덕분에 호황을 구가했다.

그러나 지금 이런 성장 동력조차 약해지고 있다. 경제학자 누리엘 루비니는 “또 한 번의 심각한 불황을 막는 것은 거의 ‘미션 임파서블’이다”고 지적했다.

미션 임파서블

국가가 다시 한 번 개입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08년에 비해 지금 국가가 그런 구실을 하기 더 힘들다. 그것은 부분적으로는 국가가 이미 많은 탄약을 소진했기 때문이다. 2008~2009년 국가들은 이자율을 제로 가깝게 내렸고 현재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요인은 서방 지배계급이 경기 정체보다 2008년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가 추가로 빌린 돈을 메우는 게 더 중대한 문제라고 보고 있는 점에 있다.

그래서 영국뿐 아니라 유로존 지역에서 긴축 물결이 확산된 것이었다.

버락 오바마와 공화당 사이 ‘타협안’의 핵심은 미국 재정적자를 줄이는 것이 우선순위라는 티파티의 요구를 오바마가 수용한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이 크게 축소될 것이다.

어떤 사람은 이것이 미국 자본주의를 살리기 위한 영리한 계획인 듯이 말한다. 이것은 황당한 주장이다.

미국 공화당과 영국 보수당 내에서 영향력 있는 미신을 믿지 않는 이상 공공지출을 줄이는 것이 유효수요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를 구할 방법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

우리가 지금 대서양 양쪽에서 보는 것은 정치적 마비상태다. 미국과 유럽 지배계급은 서로 다투느라 너무 바빠 일관된 전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사이에 금융시장은 패닉 상태에 빠졌다. 신용평가사인 S&P는 미국의 신용 등급을 트리플 A에서 한 단계 낮췄다. 유로존의 신용 위기는 유로존 변두리 나라에서 이탈리아와 스페인 같은 대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유로존 지도자들은 휴가를 떠났다. 이런 일련의 사태들은 세계경제가 불황으로부터 불균등하게 회복하면서 세계 경제력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와중에 발생하고 있다.

독자들은 서방 자본주의 중심부 지도자들이 이런 변화를 보면서 정신을 차리고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덕분에 중국 국영 통신사인 신화사는 미국인들이 이제는 “번 만큼만 쓰고 살아야 하고” 달러화 발행이 “국제 감시”를 받아야 한다고 자신있게 주장할 수 있었다.

나는 미국 헤게모니가 몰락하는 데 몇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지금 역사에 가속도가 붙은 듯이 보인다.

출처: 영국의 혁명적 좌파 신문 <소셜리스트 워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세계 주식시장 패닉 사태:
더블딥 위험에 직면한 세계 자본주의

2011-08-06
강동훈
세계 주식시장이 나흘째 패닉 상태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다우지수도 열흘…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곤경에 빠진 유럽연합 지배자들

2011-07-14
알렉스 캘리니코스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중앙위원장
때로는 옛날 농담이 현 상황과 더 잘 어울릴 때가 있다. “디나이얼[…

디폴트를 피했더니 더블딥이 다가오는 미국 경제

2011-08-04
이정구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연구교수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소위 초당적 합의로 미국은 가까스로 파산선언 위기…

유로존의 위기와 긴축 반대 투쟁

2011-04-21

이탈리아, 아일랜드… 끝없는 유럽 위기

2011-07-14
김용욱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노동자 연대⟩ 소개 | 전체 주제 |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정기구독 이용 약관 정기구독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연락
대표전화 02-777-2792 기사제보 02-777-2791
팩스 02-6499-2791 이메일 ws@wspaper.org
주소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정기구독/후원
입금계좌
국민은행 020601-04-080896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발행인 김인식 편집인 김인식
사업자 등록번호 104-86-18859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등록일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