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 홈
  • 국제
  • 동아시아
  • 경제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이론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과 해방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왜 혁명 조직 건설이 중요한가

레프트21 73호 | 기사입력 2012-01-13 12:09 |
주제: 이론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경찰의 구실은 무엇일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공기업화는 비현실적 요구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왜 국제주의 사상이 필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국가의 힘은 쇠퇴했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왜 신문 판매가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레프트21〉의 급진적 주장이 대중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윤리적 소비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오늘날 노동계급은 더는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없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왜 혁명 조직 건설이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자본주의와 언론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제국주의를 추동하는 힘은 무엇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스탈린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용역깡패 ─ 국가 폭력의 보조 수단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자본주의 위기와 지정학적 갈등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저들이 민영화를 추진하는 이유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민영화, 협동조합, 그리고 국유화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 - 자본주의의 논리적 귀결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회전문 인사를 통해 보는 자본주의 국가의 본질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부패와 자본주의는 어떻게 한 몸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왜 자본주의는 건강·생명을 망가뜨리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노동계급은 누구고 왜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셰일가스 혁명’이라는 호들갑 뒤의 진실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한국 자본주의, 용산 개발 그리고 거품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한국 사회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무엇이 진정한 폭력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국가를 보는 세 가지 관점

얼마 전 뜻밖의 사고로 우리 곁을 떠난 조성민 동지는 반생을 사회주의자로 살며 혁명 조직 건설에 힘을 쏟았다. 그가 죽기 직전까지 했던 활동은 운동을 건설하며 신문을 판매하고, 후배들과 토론하며 그들을 혁명조직의 활동가로 성장시키는 일이었다. 그렇다면 혁명조직을 건설하는 것은 왜 그토록 중요할까? 

혁명적 사회주의의 핵심은 아래로부터의 대중행동만이 세계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최근 일어난 아랍 혁명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배자들에 대항한 거대한 도전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은 엄청난 에너지와 창조성을 발휘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노동 대중이 자기 혁신 활동에 나설 것이며 경제적·정치적·문화적 권력을 얻으려고 투쟁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운동은 본질상 복합적이며 모순적이다. 현실 세계에서 실제 운동들은 온갖 경향들과 자극들로 이루어져 있다. 거대한 운동에 참가한 사람들이 모두 똑같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그렇다면 삶은 얼마나 단순할까!

예를 들어, 2008년 촛불항쟁이나 최근 한미FTA 반대 투쟁에는 다양한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했다. 그런 사상의 차이는 운동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를 둘러싼 태도의 차이 등으로 나타난다. 운동을 이런 차이를 둘러싼 토론과 논쟁이 계속 벌어지는 공간이라고 여기지 않으면 우리는 운동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런 논쟁들은 부분적으로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둘러싼 것이지만, 특별히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를 둘러싼 논쟁들도 있다.

권력자들을 설득해 태도를 바꾸도록 로비하는 게 가장 좋은가? 아니면 강력하고 전투적인 운동들을 건설해 권력자들의 결정권 자체에 도전해야 하는가?

우리가 투쟁하는 쟁점들은 서로 동떨어진 것들인가, 아니면 모두 서로 연결된 것들인가?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연결돼 있는가? 우리는 다른 나라 운동들의 실수와 성공에서 배울 수 있는가?

이런 문제들과 그 밖의 다른 많은 문제들을 둘러싸고 다양한 대답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온갖 집단들이 등장하고 이들은 때로는 외부 기구들(정당, 종교단체, 직능단체, 기타 등등)과 연결돼 저마다 어떤 제안을 내놓는다.

이런 제안들 중 일부는 운동을 탈선시킬 것이다. 일부는 운동의 결집력을 약화시킨다. 일부는 운동 안에 분열의 씨앗을 뿌린다. 

사회주의자들이 응집력 있는 조직을 결성해 자신들의 견해를 표명하며 운동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잘못된 견해들이 운동 속에서 유력해질 수 있다. 

프랑스 공산당 관료들은 1968년 5월에 노동자들이 파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드골 정권은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1979년 이란 혁명에서는 우파 성직자들이 혁명의 지도력을 장악해서 노동자 투쟁의 열기를 가라앉히고 보수적인 이슬람국가 수립으로 혁명을 왜곡시켰다. 

1973년 칠레에서는 심지어 공공연히 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집권한 정부가 옛 정권의 군 장성들과 타협하다가 야만적인 반혁명을 자초하고 말았다. 역사는 그런 사례들로 가득하다.

어떤 사람들은 민중 반란의 “자생성”에 의존해서 모든 장애물을 일소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당연히 모든 위대한 운동에서는 민중의 창의성과 상상력이 엄청나게 “자생적으로” 폭발했다. 그러나 자생성은 자생성이다. 

‘자생적’으로 운동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 안팎에서는 많은 조직된 목소리들이 저마다 주의를 끌고 지지를 얻으려 경쟁한다.

따라서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은 조직을 구축해 자신의 주장들을 내놓을 수 있는 방법들을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투쟁에 의존해서 자본주의의 핵심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운동을 발전시키려고 하는 조직을 건설해 대중 속에 탄탄하게 뿌리내려야 한다.  

그래서 조성민 동지는 죽기 전 마지막으로 〈레프트21〉 72호에 기고한 ‘1960년대 미국 민중 저항과 반전 운동’ 기사에서 “원칙이 확립된, 응집력과 경험을 갖춘 활동가 조직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것이다.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경찰의 구실은 무엇일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공기업화는 비현실적 요구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왜 국제주의 사상이 필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국가의 힘은 쇠퇴했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왜 신문 판매가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레프트21〉의 급진적 주장이 대중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윤리적 소비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오늘날 노동계급은 더는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없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왜 혁명 조직 건설이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자본주의와 언론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제국주의를 추동하는 힘은 무엇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스탈린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용역깡패 ─ 국가 폭력의 보조 수단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자본주의 위기와 지정학적 갈등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저들이 민영화를 추진하는 이유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민영화, 협동조합, 그리고 국유화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 - 자본주의의 논리적 귀결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회전문 인사를 통해 보는 자본주의 국가의 본질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부패와 자본주의는 어떻게 한 몸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왜 자본주의는 건강·생명을 망가뜨리는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노동계급은 누구고 왜 중요한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셰일가스 혁명’이라는 호들갑 뒤의 진실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한국 자본주의, 용산 개발 그리고 거품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한국 사회와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무엇이 진정한 폭력인가?
  •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국가를 보는 세 가지 관점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고(故) 조성민 1971~2012:
치열했던 신념과 투쟁을 돌아보며

2012-01-13
이동엽

마르크스주의로 세상 보기:
경찰의 구실은 무엇일까

2010-07-01
조승희
양천경찰서 고문 사건으로 경찰의 폭력에 대한 분노가 크게 일었다. 서울경…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노동자 연대⟩ 소개 | 전체 주제 |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정기구독 이용 약관 정기구독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연락
대표전화 02-777-2792 기사제보 02-777-2791
팩스 02-6499-2791 이메일 ws@wspaper.org
주소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정기구독/후원
입금계좌
국민은행 020601-04-080896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발행인 김인식 편집인 김인식
사업자 등록번호 104-86-18859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등록일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