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방송사 공동 파업에 승리를!:
MB를 겨냥해서 힘을 키우고 집중하자

방송 3사 공동 파업에 이어, 드디어 지방 MBC 노동자들도 투쟁 대열에 합류했다. 국가기간통신사인 〈연합뉴스〉도 23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언론 노동자 투쟁의 불길이 뜨거워지는 것이다.

방송문화진흥회 전 이사장 김우룡이 ‘김재철 낙하산은 대통령의 뜻’이라고 시인한 것은 노동자들의 주장이 완전히 옳았음을 보여 준다.

“김재철을 빨리 수거해 폐기하라. 그렇지 않으면 김재철 퇴진을 넘어 정권 심판으로 나아가겠다.” MBC 노동자들은 수년간 쌓아 온 분노를 터뜨리고 있다.

정말이지, 이명박 정부는 방송을 1퍼센트만을 위한 ‘독사의 혀’로 만들어 왔다.

MB의 아바타 사장들은 보도 아이템 선정에서부터 칼을 대 왔고, 인사평가로 등급을 매겨 노동자들을 감시·통제해 왔다. 시사프로그램들은 축소·폐지됐다. 김재철이 법인카드로 명품백을 구입하고 마사지를 받는 동안, 노동자들은 타 부서로 전출을 당하고 자리에서 밀려났다. 〈PD수첩〉 PD는 정부 정책에 반대했다고 검찰 기소까지 당했다.

3월 8일 방송 3사 공동 파업 집회 이번에 그야말로 “종결 파업”을 벌여 ‘MB씨 방송’, ‘김비서 방송’을 바꿔야 한다.

지방에선 방송사 통폐합과 해고가 잇따랐다. 구조조정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진주MBC 조합원 절반이 징계를 당하기도 했다.

이 모든 악의 뿌리는 이명박 정부다. 이명박은 이제 와서 파업에 “간섭”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그것은 역겨운 책임 회피일 뿐이다. 정부는 여기서 밀리면 안 된다는 깊은 두려움에 휩싸였다. 방송 파업의 전진이 정권의 위기와 몰락을 가속화하며 더 많은 노동자들의 투쟁을 고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결코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다. 현재 투쟁의 판돈은 매우 크다.

그래서 MB의 행동 대장들은 손배가압류를 퍼붓고 해고·징계 등 탄압의 막장 드라마를 연출하고 있다. MBC 사장 김재철은 ‘전 사원의 프리랜서화, 예능·드라마 전면 외주화, 기자직 계약직화’ 등을 추진하겠다며 강도 높은 대응을 시작했다.

이렇게 대결이 첨예해진 지금, 일각에서 ‘총선 방송을 포기하면 새누리당만 도울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오는 것은 우려스럽다. 이런 주장은 총선 전에 적절한 수준에서 타협을 모색하자거나, 길게 보고 총선 이후를 도모하자는 식의 얘기를 함축한 듯이 들린다.

2010년 MBC 파업의 경험은 이런 주장이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 준다.

당시에도 일부 친민주당 개혁주의 지도자들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정방송에 주력해야 한다”며 MBC노조 지도부에게 파업 종료를 권했고, 당시 노조 지도부는 이를 수용했다. 이는 선거를 앞두고 투쟁을 자제하고 투표로 심판하자는 논리와 맞닿아 있었다.

그러나 당시 6·2 지방선거에서도, 2011년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방송 3사의 편파 보도는 계속됐다. 아무런 성과도 없이 투쟁을 정리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파업이 종료되자마자 〈뉴스데스크〉 권순표 앵커가 교체됐고, 징계가 줄줄이 이어졌다. 정부의 언론 통제는 더 심해졌다.

MBC 노조는 이런 뼈아픈 경험을 딛고 다시금 싸움에 나섰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이 상태에서 파업 접을 거면 시작도 안 했다” 하고 말한다. “김재철 퇴진이 우선이고, 그래야 공정 방송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노동자들의 말이 백번 옳다. 진정으로 이명박과 새누리당을 꺾을 힘은 ‘MB씨 방송’, ‘김비서 방송’이 계속되지 않도록 파업을 확대해 투쟁의 힘을 강력히 키우는 것에 있다.

‘불공정·편파 방송’을 중단시키는 방송 노동자들의 투쟁이 지속될 때, 진정으로 이명박과 새누리당에게 정치적 타격을 줄 수 있다. 〈한겨레〉도 “청와대는 특히, 언론사 연쇄 파업이 대규모로 장기화하면 총선에서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다”고 썼다.

실제로 사회적 파장이 큰 투쟁이야말로 사회 분위기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우파 후보에게 타격을 가한다.

2002년·2004년에 여중생 미군 장갑차 압사 항의 투쟁과 탄핵 반대 투쟁은 그런 구실을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도 희망버스 운동이 확대되고 복지·무상급식에 대한 대중적 열망이 확대되면서 가능했다.

총선 보도

지금 방송 3사 공동 파업은 이런 힘을 만들 잠재력을 충분히 갖고 있다. 저들이 초강경 대응을 하고 정부와 기성 언론들이 이 투쟁을 애써 무시·축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쪽도 초강경 “종결 투쟁”을 벌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방송 3사 노조, 서울과 지방의 MBC 노동자들이 더 단단히 뭉쳐야 한다. 일부에겐 양보 제스처를 취하고 일부에겐 강력한 탄압을 가하며 이간질을 시도하는 정부와 사측의 시도를 무력화해야 한다.

KBS 노조는 파업 대열을 늘려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려야 하고, YTN 노조도 시한부 파업을 넘어서야 한다. 대체 인력 투입 등 파업 효과를 없애려는 시도를 저지하는 행동도 필요하다.

진정 “지혜로운 파업”은 힘을 최대한 집중해 효과를 극대화해서 승리를 앞당기는 것이다. 힘을 다 쏟아붓지 않은 채 시간을 끌면 끌수록 상대편에게 반격의 기회를 줄 수 있다.

‘언론 통제 중단, 낙하산 사장 퇴진, 징계 철회, 해고자 복직, 공정방송을 위한 제도 마련’이라는 공동의 요구를 내걸고 방송사 노동자들이 단결을 강화할 때 힘은 배가될 것이다.

무엇보다 3사 파업을 중심으로 민주노총·언론노조·진보정당과 사회단체 등 광범한 진보진영이 함께 정부에 맞서 힘을 합쳐야 한다.

최근 민주언론시민연합·언론개혁시민연대·민주노총·참여연대 등 3백50여개 단체가 방송사 파업을 지지하는 연대기구(엠비 방송장악 심판·낙하산 퇴출·공정보도 쟁취를 위한 공동행동, 이하 공동행동)를 발족했다. 출범이 늦어진 것은 아쉽지만, 이제라도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는 것은 반갑다. 진보진영은 폭넓은 연대 투쟁을 조직하며 투쟁의 초점을 만들어야 한다.

연대기구는 강력한 연대 투쟁을 건설하는 구실을 해야지, 혹시라도 지난 2010년 MBC 파업 때처럼 개혁주의 지도자들이 온건화 압력을 넣는 통로가 돼서는 안 된다.

특히 언론노조 지도부가 그 구심에 서야 한다. 공동행동은 〈연합뉴스〉, 〈부산일보〉, 〈국민일보〉 등 곳곳에서 싸우는 언론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원해야 하고, 그 가운데서도 투쟁의 핵심인 MBC를 비롯한 방송사 파업의 실질적 지원부대가 돼야 한다.

민주노총의 구실도 중요하다. 3월 25일 민중대회는 여러 요구들을 한데 모아 역겨운 반격을 시도하는 이명박 정부에 맞선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 투쟁의 기세를 몰아 방송사 투쟁을 지지하는 하루 연대 파업 등을 조직해야 한다. 최근 전교조 광주지부가 발표한 ‘언론 파업 지지 조회’ 계획을 확대·발전시킬 필요도 있다. 이런 투쟁을 건설할 때 하반기 ‘정치 파업’도 가능할 수 있다.

진보정당 지도부도 선거 심판에만 기대며 투쟁을 등한시해선 안 된다. 거리와 작업장의 투쟁을 확대·강화하는 것은 진보정당의 의무이며, 그럴 때 선거에서도 진보의 목소리를 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