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새로운 불황으로 빠질 수 있는 미국 예산 위기

알렉스 캘리니코스  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장 , 번역 최병현
레프트21 113호 | 2013-10-12 |
주제: 세계 경제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미국 공화당과 오바마가 충돌하며 연방정부 폐쇄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정치적 충돌 아래 깔린 정치적 경제적 배경을 알렉스 캘리니코스가 살펴 본다.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장이다.


미국 대통령 오바마와 공화당이 의회에서 충돌하면서, 미국 연방정부가 또다시 폐쇄됐다.

여기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첫째는 백악관과 공화당 주도의 하원이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한 탓에 상당수 공무원이 일시적 해고를 당했다는 점이다.

전에도 연방정부가 폐쇄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1995~96년 민주당 소속 대통령 빌 클린턴과 공화당 소속 하원의장 뉴트 깅리치가 대립했다. 그 대립이 경제에 미친 영향은 작았고 결국 공화당이 물러섰다.

[둘째는] 이번 경우는 사태가 훨씬 더 심각하다는 점이다. 기존 채무를 상환하고 계속 대출을 받으려면 미국 정부는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공화당 내 강경 우파인 티파티 광신도들은 오바마가 곧 시행될 의료보험 개혁안을 보류하지 않는 한 의회의 승인을 막을 것이라고 협박하고 있다.

미국이 채무불이행에 빠지면 문제는 심각해질 것이다. 달러화는 주요한 세계 기축통화고, 미국 정부가 대출을 안정적으로 받아야 미국 경제와 국제 금융계 모두 순탄하게 작동할 수 있다.

북미에 사는 내 동료들은 미국이 채무불이행에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결국 공화당이 먼저 꼬리를 내리고 오바마와 협상에 나서지 않겠냐는 예측이다. 그럴 수도 있다. 그렇지만 미국 정치가 단지 변덕스러운 것만은 아니다. 미국 정치는 지배계급의 이익과 갈수록 틀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듯하다.

티파티 철학의 주된 요소 하나는 균형예산이다. 티파티는 정부 차입을 부도덕한 것으로 보고, 그들 중 일부는 균형예산이란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라면 채무불이행을 강요할 태세까지 돼 있다.

혼란 속에 있지만, 그들도 상황을 알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공공 부채와 민간 부채 덕에 미국 경제가 부양되고 있는 상황 말이다. 중앙은행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는 최근 양적완화를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그 과정에서 연준은 달러를 찍어 내 이 부채의 일부를 사들이면서 금융계에 돈을 쏟아부었다.

따라서 미국 경제가 연방정부의 인위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는 공화당 우파의 지적은 옳다. 그러나 막대한 부채로 돌아가는 기계를 멈추면 또 다른 불황이 촉발될 수 있다. 티파티의 전략은 베트남 전쟁 중 한 미국 소령이 말한 전략과 비슷하다. “그 마을을 구하려면 먼저 그 마을을 파괴해야 한다.”

루스벨트

이 자유시장 신봉자들의 입김이 왜 이렇게 셀까? 이는 미국 남부의 정치와 큰 연관이 있다. 오바마는 처음 당선했을 때 자신을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비교하길 즐겼다. 루스벨트는 뉴딜 정책으로 1930년 대공황에서 미국 경제를 살려 냈다고들 한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오바마보다 휠씬 더 저돌적인 정치인으로 민간 자본을 강하게 규제했다. 루스벨트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민주당이 의회에서 확고하게 다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아이라 카츠넬슨이 최근작 《공포 자체》(Fear Itself)에서 보여 줬듯이, 당시 민주당이 의회 다수파를 차지하는 데 남부의 표가 중요한 구실을 했다.

당시 남부는 여전히 일당 지배 지역이었고, 흑인은 투표권이 없었고, 민주당이 정치를 지배했다. 민주당은 의회 다수파라는 힘을 이용해 루스벨트의 경제적·사회적 개혁을 추진했다.

남부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루스벨트는 흑인에 대한 폭력 사건에 전혀 손을 쓰지 않았고, 백인 우월주의를 담은 짐 크로법을 그냥 놔뒀다.

이런 상황은 1960년대에 와서야 바뀌었다. 존 F 케네디와 린든 존슨의 민주당 정부는 공민권 운동의 압력을 받아 짐 크로법을 폐지했다. 이 덕분에 1968년 리처드 닉슨의 당선을 시작으로 공화당은 민주당에 불만을 품은 백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남부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이제는 공화당이 남부를 지배한다. 남부의 선거구는 공화당에 유리하기 때문에, 공화당 현직 의원들은 민주당이 아니라 같은 공화당 경쟁자들의 도전을 더 신경 쓰게 됐고, 더욱 우경화한다. 그래서 티파티가 정치적 힘을 얻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슬픈 점은 오바마가 공화당과 정부의 추가 대출을 허용하는 합의를 이루려 하면서 이미 너절해질대로 너절해진 복지를 더 삭감할 태세가 돼 있다는 사실이다.

뉴딜 정책과는 한참 떨어진 상황인 것이다.

출처: 영국의 혁명적 좌파 신문 <소셜리스트 워커> 2374호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 이슈: 세계경제 위기

중국공산당 3중전회:
더욱 심각한 분열에 시달릴 중국 관료들

2013-11-23
김영익

세계경제는 또 다른 2008년 9월을 향하는가?

2013-11-09
정선영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이하 연준)는 막대한 돈을 풀어 경기…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논평:
자본주의라는 야수가 입은 치명상은 아직도 여전하다

2013-10-26
알렉스 캘리니코스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중앙위원장
영국 정부가 [공공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열메일을 민영화하면서 신규 …

분석과 전망:
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조선업

2013-10-26
강동훈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