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10월 31일 기자회견:
계속 이어지는 최루탄 바레인 수출 중단 목소리

레프트21 114호 | 2013-10-31 |
주제: 중동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한국산 최루탄의 바레인 수출을 중단하라고 민주노총이 방위사업청 등에 공문을 발송한 것에 이어, 전교조와 시민사회단체 30곳이 10월 31일 방위사업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왜 한국의 최루탄이 바레인을 울리는가

최루탄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적이었다. 독재 권력은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시민들을 막기 위해 최루탄을 쏘았다. 그 와중에 1987년 이한열, 1960년 김주열의 죽음 같은 비극이 일어났다. 최루탄 사용이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자 한국 정부는 1999년부터 최루탄을 쓰지 않고 있고, 한국 기업이 만든 최루탄을 외국으로 수출만 하고 있다.

수출된 한국산 최루탄이 문제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올해 6월에도 터키에서 평화적인 시위를 하는 시민들을 향한 공권력의 폭력적인 진압과정에서 터키 경찰이 최루탄을 남용해 많은 사람이 부상당했다. 그때 사용된 최루탄 중에서도 한국의 대광화공에서 생산한 최루탄이 발견되었다.

지금 바레인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바레인 보안군은 한국 업체인 (주)대광화공과 (주)CNO Tech에서 만든 최루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시위를 진압할 때는 물론이고 시위가 없을 때도 무차별적으로 최루탄을 사용하고 있고, 사람들을 향해 최루탄을 직접 발사하는가 하면 심지어 주택 안으로 최루탄을 쏘고 있다. 인권단체 ‘Physicians for Human Rights’에 따르면 2011년 이후 바레인에서 최루탄으로 인해 사망한 사람의 숫자는 최소 39명에서 최대 2백여 명이며, 그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부상당했다. 사망한 사람 중에는 미성년자, 노인, 장애인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지난 2011년부터 올해까지 바레인에 가장 많은 최루탄을 수출한 곳은 바로 한국의 두 기업이라고 한다. 2011년부터 2012년 사이, 한국 기업들은 바레인에 최루탄 150만 발을 공급했다. 또한 최근 공개된 바에 따르면 바레인 당국은 최루탄 160만 발을 추가로 수입할 예정이며, 한국 기업들 역시 최루탄을 계속 수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바레인 당국의 최루탄 남용에 대해 알려지자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은 2011년 바레인에 최루탄 수출을 중단했다. 최근에는 비판적 지식인의 대표격인 노엄 촘스키 교수와 노르만 핀켈슈타인 교수, 세계적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존 필저 등도 한국 등은 바레인으로의 최루탄 수출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무기거래조약 서명국이다. 서명국으로서 인권 침해를 자행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무기류를 계속 수출한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사안이다. 한국 정부는 무기거래조약 제6조(금지)와 제7조(수출 및 수출평가)를 잠정적으로 적용하여 수출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 더불어 방위사업청장은 방위사업법 제57조 제4항 ‘국제평화·안전유지 및 국가안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주요방산물자의 수출을 제한할 수 있다.’는 조항에 따라 최루탄 수출을 금지해야 한다.

바레인에 한국산 최루탄 수출을 즉각 중단하라!

방위사업청을 비롯한 한국 정부는 바레인뿐만 아니라 심각한 인권침해를 자행하는 데 쓰이거나 쓰일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의 최루탄 수출 허가를 즉각 중단하라!

2013년 10월 31일

개척자들, 경계를넘어, 국제민주연대,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군산미군기지피해상담소, 나눔문화, 남북평화재단, 노동자연대다함께, 대전평화여성회, 동북아평화교육훈련원(NARPI), 무기제로, 문화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연대위원회, 반전평화연대(준), 비폭력평화물결, 생명평화연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평화포럼, 인권운동사랑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쟁없는세상, 참여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청년좌파, 통일맞이,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평화네트워크, 평화를만드는여성회, 평화바닥, 평화박물관, 평화의친구들, 평화통일 시민연대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방위사업청은 아랍 혁명 파괴용 최루탄 수출 금지하라!

2013-10-26
김종환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