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문재인 정부와 한국 정치
  • 홍콩 항쟁과 지지 운동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한국 정치
  • 홍콩 항쟁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새 기사 | 구입처 안내

토론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 경상대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이정구
224호 | 2017-10-11
| 주제: 교육/학생, 대학, 좌파, 일반적인 정치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나는 2016년 2학기부터 2017년 1학기까지 마르크스주의를 배우고 가르친다는 국립경상대학교 대학원 정치경제학과에서 시간강사로 일했다. 하지만 2학기에는 시간강사 재계약이 이뤄지지 않았고, 이에 대해 정치경제학과 측으로부터 지금까지 아무런 설명도 듣지 못했다.

어떤 사람들은 내 자신의 재계약 의사 표시가 없었다는 점, 나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가 없었다는 점을 거론하는 듯하다. 그러나 관례에 비춰 보면 터무니없는 말이다.

첫째, 지금까지 정치경제학과에서는 시간강사가 한 번 강의를 맡으면 특별히 재계약 의사 표시를 하지 않더라도 다음 학기에도 해당 강의를 맡아 왔다. 나도 2016년 2학기에 강의를 하고 별도 의사 표시 없이 2017년 1학기에도 강의를 맡았다.

둘째, 특정한 시간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수요는 강사 위촉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아니다. 정치경제학과는 학기가 시작하기 전에 학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는데, 그 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학생이 특정 과목의 개설과 특정 강사의 위촉을 바라더라도 학과 분위기를 보고는 자기 바람을 제대로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교수진이 특정 강사를 위촉하거나 해고할 뜻을 강하게 내비치는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이를 거스르는 의견을 표현하기가 힘들다.

시간강사를 하기 전 정치경제학과의 행정 업무를 본 경험이 있어 그 실정을 잘 아는 나로서는 다른 이유가 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 바로 러시아 혁명에 대한 견해와 사상 문제로 내가 이 신문 지상에서 정성진 교수를 공개 비판한 점이다. [관련 기사: ‘학술적 유행을 열심히 따르는 정성진 교수의 우경화’]

정 교수가 정치경제학과에서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보면 내 의심이 전혀 터무니없지는 않을 듯하다. 내가 공개 비판을 한 뒤 정 교수는 나에게 박사학위를 반납할 의사가 있느냐고까지 물었다! 제자가 스승을 비판할 수 없고 비판할 경우 스승에게서 받은 학위를 내놓는 경우도 있다면서 말이다.(그는 내 지도교수였다.)

또 다른 사례도 있다. 정 교수는 정치경제학과의 한 학생에게 전화를 걸어, 그리고 다른 학생들도 있는 자리에서도, 자신을 비판한 이정구와 자신 중 누구를 지지하느냐고 여러 차례 물었다. 그 학생이 정 교수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하자, 정 교수는 앞으로 그를 사무적으로만 대하겠다고 했다.

이는 불이익을 학생에게 위협하는 일이다. 학생에 대한 교수의 전형적인 ‘갑질’ 아닌가?

이런 논란이 생긴 김에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한다는 정치경제학과가 시간강사를 위촉할 때 좀더 투명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해 실질적으로 운용하기를 기대해 본다. A는 B 교수가 밀고 C는 D 교수가 밀어 강의를 맡았다는, 즉 ‘블랙리스트’는 없을지라도 ‘화이트리스트’는 존재한다는 의구심이 이번 기회에 불식되기를 바란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기본입장)
정기구독 후원 1천 원부터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거리와 대학과 서점에서 〈노동자 연대〉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노동자 연대
  • 소개
  • 기본입장
  • 로고
  • 윤리 강령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기사
  • 전체 기사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온라인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장르
  • 성명
  • 논쟁
  • 논평
  • 칼럼
  • 독자편지
  • 인용
  • 서평
  • 리뷰
  • 사진
  • 만평
  • 강연
  • 평가
  • 분석
  • 인터뷰
  • 기념
  • 전기
  • Q&A
  • 부고
  • 책 광고
  • 일정
  • 카드뉴스
  • 집회 소식
  • 코너
  • 이렇게 생각한다
  • 누구의 말일까요?
  • 99퍼센트의 눈
  • 소식/보고
  • 꼴라주
  • 인터랙티브 뉴스
  • “박근혜는 퇴진하라!”, 133일의 기억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