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터키의 시리아 북부 공격: 쿠르드는 제국주의자들의 게임에 또다시 희생되는가?

알렉스 캘리니코스  영국사회주의노동자당 중앙위원 , 번역 김종환
235호 | 2018-01-23 |
주제: 국제, 중동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중앙위원이다.


서방 제국주의의 지배 아래 신음하는 중동에서 쿠르드인들은 최대 피해자의 하나다. 약 100년 전 영국과 프랑스는 오스만 제국을 분할하면서 쿠르드인들의 민족자결권을 부정했다. 오히려 쿠르드인들은 여러 국가들(터키, 시리아, 이라크, 이란)로 나뉘었고 그 국가들에서 대체로 억압받아 왔다.

쿠르드인들의 이런 고통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1월 21일 터키군은 쿠르드가 통제하는 시리아 지역인 아프린주(州)를 공격했다. 이 지역은 ‘로자바’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쿠르드인들을 억압하는 국가들뿐 아니라 쿠르드 지도자들의 선택에도 문제가 있다. 그들은 제국주의 강대국들, 특히 미국과 동맹을 맺어 왔다.

이라크 북부의 쿠르드 민족주의 정당 두 곳이 이런 전략을 추구해 왔다. 쿠르드민주당(KDP)과 쿠르드애국동맹(PUK)이다. 이들은 미국이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를 공격한 1991년 걸프전을 이용해 이라크 내에서 쿠르드인들의 거주지를 얻어 낼 수 있었다. 미 공군의 보호 덕분이었다.

2003년 미국과 영국이 이라크를 침공하자 쿠르드인들은 자신들의 거주지를 더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이라크의 나머지 지역이 혼돈으로 빠져드는 가운데 쿠르드 지역만 마치 섬처럼 비교적 안정돼 보였다.

2014년에 ‘이라크·시리아 이슬람국가’(이하 아이시스)가 부상하고 [이라크 제2의 도시] 모술을 장악하자 쿠르드에게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온 듯했다. 이라크 중앙정부가 혼란에 빠진 틈을 이용해 쿠르드는 이전까지 중앙정부와 분쟁을 벌이던 지역을 장악했다. 유전 지대인 키르쿠크는 그 중 하나다. 쿠르드는 이라크에서 아이시스를 쫓아내는 전투에서 이라크 정부군에 협력해 싸우면서 미국의 엄청난 지원을 받았다.

지난 9월, 미국이 주도하는 동맹군이 모술 탈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라크 쿠르드자치정부 수반이자 쿠르드민주당 지도자인 마수드 바르자니는 독립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비록 독립 지지표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지만 결과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과대평가한 것이었다.

이라크 정부가 모술을 재탈환할 수 있었던 것은 단지 미국뿐 아니라 이란의 지원도 받았기 때문이다. 이란이 후원한 이라크의 시아파 민병대는 아이시스를 물리치는 데서 핵심적 구실을 했다. 10월에 모술이 함락되자 이라크 총리 하이다르 압바디는 일부 병력을 이동시켜 쿠르드가 2014년에 차지한 지역을 탈환하러 나섰다. 쿠르드는 금세 패배했는데, 바르자니와 경쟁하던 쿠르드애국동맹이 이란과 모종의 거래를 했기 때문일 수 있다. [바르자니는 결국 사임했다.]

이런 일이 현재 시리아에서 되풀이되는 것일 수 있다.

2011년 시리아에서 반란이 터져 나오자 궁지에 몰린 [시리아 지배자] 바샤르 알아사드는 로자바 지역을 버렸고 쿠르드 인민수비대(YPG)는 그 지역을 차지할 수 있었다. 인민수비대는 쿠르드노동자당(PKK)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쿠르드노동자당은 수십 년 동안 터키 국가와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이라크에서 했듯이 인민수비대를 동맹으로 이용했다. 쿠르드가 이끈 시리아민주군(SDF)은 미군 2000명의 지원을 받으며 아이시스를 그들의 수도 락까에서 마침내 몰아내는 데서 중요한 구실을 했다. 시리아민주군은 이제 시리아의 25퍼센트를 장악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아이시스를 물리친 결과 이란이 강해진 것을 문제라고 본다. 이란은 [시리아의] 아사드와 [이라크의] 압바디를 모두 지원하고 있다. 그래서 지난주에 미국은 병력을 시리아에 남겨 둘 것이라고 발표했다. 명목은 시리아민주군을 3만 명 규모로 강화해 시리아 북동부의 국경을 지키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이런 행보는] 실제로는 이란을 겨냥한 것이었다. 도널드 트럼프는 점점 더 이란과 충돌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중동 정치라는 게 워낙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체스판과 같은 지라 미국의 전략에 [미국의 동맹국] 터키가 크게 반발하는 상황을 피할 수 없었다. 터키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은 수년 동안 쿠르드노동자당과의 전쟁을 격화해 왔는데, 국경 건너 시리아에서 자신의 적이 더 강해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이 방정식의 또다른 변수는 러시아다. 러시아는 2015년 9월부터 시리아 내전에 개입해 아사드가 결정적으로 유리해지도록 만들었다. 러시아는 인민수비대도 지원해 왔다. 그러나 지난주 모스크바에서 열린 [터키와의] 협상 이후 아프린에 배치된 병력을 철수시켰다.

이는 사실상 러시아가 터키에 공격의 청신호를 준 것이고, 그 공격이 실제로 벌어졌다. 미국은 자신에 기대던 쿠르드가 이라크에서 곤경에 처했을 때 수수방관한 바 있다. 시리아에서도 그런 일이 반복될 것인가? 그 답이 뭐가 되든지 간에 결국 고통은 쿠르드인들의 몫이다. 트럼프나 푸틴 같은 제국주의 괴물과 동맹을 맺어서는 아무것도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쿠르드 지도자들이 깨우치기 바란다.

출처: 영국의 혁명적 좌파 신문 〈소셜리스트 워커〉 2589호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이라크 쿠르드 독립 무산:
미국 제국주의에 토사구팽당하다

2017-11-01
김종환

이라크 내 쿠르드 독립투표 강행:
오랜 독립 염원과 더욱 흔들리는 중동 질서

2017-09-27
김종환

[터키 사회주의 단체 성명]
터키의 시리아 침공과 난민 공격 규탄한다

2019-10-14
터키 혁명적사회주의노동자당

시리아 철군에서 드러난 미국의 곤혹스런 처지

2019-10-16
이원웅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