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주요 이슈 바로 가기
  • 모아 보기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문재인 정부
  • 노동자 운동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 정세
  • 유럽의 인종차별과 양극화
  • 차별
  • 북한
  • ‘제4차 산업혁명’
  • ○○주의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새 기사
  • 구입처 안내

미국 대규모 총기 반대 시위

폭력·인종차별·가난으로 얼룩진 미국 사회를 뒤흔들다

  • 알리스터 패로우
  • 번역 김준효
  • 242호
  • 2018-03-28
| 주제:
  • 국제
  • 북미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총을 쏘지[fire] 말고 트럼프를 해고하라[Fire]”
“총을 쏘지[fire] 말고 트럼프를 해고하라[Fire]” 반(反)트럼프 운동이 총기 문제를 두고 분출했다 ⓒ출처 Mathias Wasik(플리커)

3월 24일 반복되는 총기 난사를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미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우리 목숨을 위한 행진’ 시위는 미국 내 약 800개 도시에서 열렸다. 학생·청년들이 이 시위를 조직했다. 

수도 워싱턴DC에서는 [전국에서 모인] 약 80만 명이 행진에 참가했다. 뉴욕에서는 15만 명이,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약 4만 명이 행진했고, 총기 난사로 17명이 숨진 마저리 스톤먼 더글러스 고등학교가 소재한 플로리다주 파크랜드에서도 수만 명이 행진했다. 

3월 21일에는 미국 전역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플로리다 총기 난사의 희생자 17명을 추모하며 (희생자 한 명당 1분씩) 17분 동안 동맹휴업을 벌였다.

사람들은 매년 수많은 사람이 총기에 살해당하는 사회를 바꾸고자 거리에 나왔다. 

마저리 스톤먼 더글러스 고등학교 학생 델라니 타르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떡고물을 바라고 여기 나온 게 아닙니다. 진정한 변화를 위해 나온 거에요.”

민주당은 운동의 지도부 자리를 차지하고 싶어한다. 자유주의 언론들은 민주당의 메시지에 힘을 실어주려 안달이다. 

〈뉴욕 타임스〉는 이날 시위를 어린아이들이 이끌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그것은 “경험 많고 성숙한 어른들의 조직력”이 없었으면 안 될 일이었다고도 암시했다. 

통제

부자들이 주무르는 자선 단체들은 자신들이 승합차와 비행기 비용을 댄 덕에 대규모 시위가 가능했다고 재빨리 나섰다. 그러나 사람들은 워싱턴DC에서만이 아니라 전국에서 시위를 벌였다. 사람들이 부자·권력자들의 뜻을 받들기 위해 시위에 나선 것도 아니었다. 

시위의 요구가 교내 총기 살해 근절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의 일상에서 무장력이 갈수록 빈번하게 동원되는 것에도 항의한 것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었다.

경찰은 사람을 죽여도 처벌받지 않는다. 3월 21일 캘리포니아주 새크리멘토에서도 그런 일이 있었다. 경찰은 스티븐 클락이 조부모의 집 뒤뜰에 있었다는 “범죄 행위”를 이유로 총을 스무 발 쏴서 그를 살해했다. 

사람들은 성추행 전력을 떠벌이고 교내 총기 난사 대응책으로 교사들에게 총을 지급하자고 주장하는 인종차별주의자 대통령[도널드 트럼프]에 분노해 시위에 나선 것이다.

워싱턴DC 시위에 참가한 로스앤젤리스 출신 청소년 에드나 차베스는 사람들이 “폭력을 조장하는 [사회적] 조건을 바꾸기 위해” 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차베스는 자신의 오빠가 2007년에 자기 집 앞에서 살해당한 일을 얘기했다. “[미국에서]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 마치, 내가 글자를 배운 것보다 총알이 날아오면 엎드려야 한다는 것을 먼저 배운 것이 ‘당연한’ 것처럼 말이다.”

이전에도 끔찍한 교내 총기 난사가 벌어졌다. 그러나 이번 플로리다 총기 난사로 촉발된 분노는 그 이전 어느 때보다 훨씬 뜨겁다. 

이날 시위는 미국 사회에 깊이 자리한 거대한 분노와 공명했다.

이런 분노가 거리 운동으로 계속돼야 한다. 그 운동은 정부, 군부, 기업 이사진, 경찰 같은 진정한 범인들을 조준해야 한다.

워싱턴DC에서 열린 ‘우리 목숨을 위한 행진’에 80만 명이 참가해 목소리를 모았다 ⓒ출처 Victoria Pickering(플리커)
“우리 학교에 공포가 설 자리는 없다”
“우리 학교에 공포가 설 자리는 없다” 뉴욕에서 열린 ‘우리의 삶을 위한 행진’ 참가자 ⓒ출처 mathiaswasik(플리커)
출처: 영국 반자본주의 주간지 〈소셜리스트 워커〉 2597호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후원 1천 원부터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거리와 대학과 서점에서 〈노동자 연대〉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맨 위로

관련 주제: 북미

미국 교사 파업

지도부의 복귀 명령 거슬러 투쟁을 이어가다

2018-04-18
  • 알리스터 패로우

마틴 루서 킹 사망 50년

마틴 루서 킹의 급진성을 재조명하다

2018-04-12
  • 유리 프라사드

제국주의론으로 보는 미중 무역 갈등

2018-04-12
  • 김종환

미국 교사들의 투쟁이 이제 오클라호마를 휩쓸다

2018-04-12
  • 알리스터 패로우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노동자 연대
  • 소개
  • 제작 방침
  • 개인정보 보호정책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기사
  • 전체 기사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온라인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장르
  • 성명
  • 논쟁
  • 논평
  • 칼럼
  • 독자편지
  • 인용
  • 서평
  • 리뷰
  • 사진
  • 만평
  • 강연
  • 평가
  • 분석
  • 인터뷰
  • 기념
  • 전기
  • Q&A
  • 부고
  • 일정
  • 코너
  • 이렇게 생각한다
  • 누구의 말일까요?
  • 99퍼센트의 눈
  • 소식/보고
  • 꼴라주
  • 인터랙티브 뉴스
  • “박근혜는 퇴진하라!”, 133일의 기억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