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독자편지 예멘 출신 여성 난민의 이야기:
죽음을 피해 왔지만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우익들은 “가짜 난민”들이 한국에 들어와서 일자리를 빼앗고, 복지를 빼앗고, 범죄를 일으킨다고 거짓 선동한다. 그러나 난민들이야말로 집과 일자리와 삶을 빼앗기고, 전쟁범죄와 정치범죄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도망쳐 온 피해자들이다.

전쟁과 폭격을 피해

나는 한국이주인권센터에서 자원활동을 하는데, 그곳에서 예멘 난민 여성 A 씨를 만났다.

A 씨는 예멘의 수도인 사나에 살았다. 예멘 내전으로 도시에 폭탄이 떨어져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폭탄재 때문에 피부병과 호흡기 질환에 시달렸는데 병원조차 폭격으로 무너졌다. A 씨는 살기 위해 집을 떠나야 했지만, 어디로 어떻게 가야 할지 막막했다. 가족이 함께 움직일 수도 없어서 아이들을 먼저 피난 보냈다.

A 씨는 혼자 예멘을 탈출해야 했는데 여성 혼자라는 이유로 어딜 가든 주목과 질문을 받았다. A 씨는 홍해를 건너 예멘을 빠져나가려고 했지만 쉽지 않았다. 바다를 끼고 남쪽으로 이동하다가 다행히 배(모터보트)에 탈 수 있었다. 그런데 바다를 건너던 중 배가 3시간이나 멈춰 움직이지 않았다. A 씨는 ‘바다 위에서 이렇게 죽는구나’ 생각하며 극심한 공포에 시달렸다고 한다. 실제로 작은 모터보트에 난민 수백 명이 타고 바다를 건너다 고장이나 전복으로 익사하는 경우가 많다. 다행히 A 씨가 탄 배는 지부티라는 나라에 도착했고, 그는 아이들이 있던 에티오피아로 넘어갈 수 있었다.

에티오피아는 전쟁이나 폭격에서는 안전했지만, 치안이 불안정하고 물가가 너무 높았다.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고, 더럽고 위험한 곳에서 살 수밖에 없었다. 또한 여자 혼자 아이들을 키우며 살기 어려웠고, 아이들은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 말레이시아로 갈까도 생각해 봤지만, 삶이 달라질 거라고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렇게 에티오피아에서 반년을 살았다.

그러던 중 한국에 살던 동생이 한국행 표를 구해 줬다.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이 생긴 것이다. A 씨는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을 때조차 진짜로 안전한 곳에서 살 수 있다는 게 믿겨지지 않았다고 한다. A 씨는 한국에 오고 나서야 비로소 웃을 수 있게 됐다.

한국에서 난민으로 살아가기

한국에 온 직후 A 씨는 영종도 난민센터(국가기관)에서 지냈다. 여동생은 원룸에서 아이들과 살고 있었기 때문에 달리 갈 곳이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난민센터에서 지낼 수 있는 기간은 정해져 있었고, 그곳을 나오자 살 수가 없었다고 한다.

‘난민 신청자 신분이라 경제 지원도 받을 수 없고, 의료보험 가입도 안 되는 등 사회보장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었다. 돈이 없어서 너무 힘들었다.’

A 씨는 예멘에서 영어강사로 일했는데 난민 신청자 비자로는 단순 노무직밖에 할 수 없었다. 아이들을 위해 무슨 일이든 하려했지만, 사장들은 일을 하려거든 히잡을 벗으라고 강요했다. A 씨는 손으로 일하는데 왜 히잡을 벗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한다. 히잡은 A 씨에게 문화적으로 큰 의미가 있어서 벗을 수 없는 것이었다. 일이 밤 늦게 끝나서 아이들을 돌볼 수 없는 것도 문제였다.

A 씨는 한국에 오면 아이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했지만 유치원비가 너무 비싸서 아이들을 보낼 수 없었다. 돈을 내도 아이들을 받아 주지 않는 유치원이 많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언어가 다른것도 A 씨를 힘들게 했다. 그래도 A 씨는 영어를 할 수 있어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도움을 받을 수 있었지만, 많은 난민들은 영어도 할 수 없어 난민 심사를 받고 일자리를 구할 때 큰 어려움을 겪는다. 최근에 난민 심사 과정에서 통역 오류로 난민 지위를 불인정한 일들이 드러나기도 했다.

A 씨는 지금은 다행히 난민 인정을 받아 지원을 받고 있다(기초생활수급자 수준).

“선택할 수 있는 게 없었다”

그러던 중 제주 예멘 난민들의 입국이 논란이 됐다. A 씨는 그 이후 예멘인이란 이유로 차별을 당한 이야기들을 주변에서 많이 들었다고 한다. 한 지인은 예멘인이란 이유만으로 해고를 당했다. 또 다른 지인은 예멘인이라는 이유만으로 2년간 알고 지내던 한국 사람에게 괴롭힘을 당했다. 단기직으로 일하던 지인들이 예멘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일을 구하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모두가 예멘 난민을 배척한 건 아니었다. 예멘 난민들을 도와주는 수많은 손길들이 있었다. A 씨도 난민들을 돕기 위한 활동에 나섰다.

A 씨는 자신이 한국으로 오는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이야기한다. 강요된 선택지 안에서 자신은 떠밀려 왔을 뿐, 원해서 난민이 된 것도, 원해서 한국에 온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저 살기 위해 떠났고, 갈 수 있는 곳에 갈 뿐이다. A 씨는 어느 나라를 거쳐서 한국에 왔든 그게 “가짜 난민”이라는 의미일 수는 없고, “가짜 난민” 자체가 없다고 말한다.

A 씨는 제주에 온 예멘 난민들도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청년들은 예멘에 있으면 군대로 징집돼 누구를 위해, 뭘 위해 싸우는지도 모르고 싸우다 죽는다. 누구도 그렇게 죽고 싶지 않기 때문에 징집을 피해 어쩔 수 없이 난민이 되는 것이다.

A 씨는 국경 통제의 부당함도 이야기했다. ‘예멘에서 내전이 벌어지기 전에는 갈 수 있던 많은 나라들이, 내전이 발생하자 비자 발급을 제한했다. 이것은 난민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미다. 때문에 예멘인들 대부분은 항공료나 비자가 없어서 배를 타고 밀입국을 해야 한다. 그런데 예멘 내전의 책임자인 정부 인사들과 부자들은 예멘을 폭격해 생지옥으로 만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안전하고 호화롭게 살고 있다.’

계급에 따라 전쟁으로 인한 피해 정도도 다른 것이다. 부자들은 정보를 얻어 미리 피난할 수도 있고, 다른 피난처를 찾거나 돈으로 시민권을 살 수도 있다. 그러나 평범한 대중들은 신분증을 챙길 시간조차 없이 쫓겨 나와 “가짜 난민” 취급을 받는다.

A 씨는 난민들에게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난민들은 한국으로 올 때 이미 가진 돈을 다 소진했을 것이다. 예멘인들에게 한국 물가는 너무나 높아서 그나마 돈이 있어도 너무 적은 돈이 되고 만다. 지원이 없다면 살아갈 수 없다. 그래서 일자리도 필요하다.’

우파들은 쥐꼬리 만한 지원도 안 된다, 장시간 노동 저임금 일자리도 안 된다고 난리를 피운다. 난민들은 굶어 죽으라는 얘기다.

9월 16일 ‘난민과 함께하는 행동의 날’ 집회에 참가한 이집트 난민 가족이 난민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조승진

A 씨는 한국이 전쟁과 폭격도 없고, 치안도 좋고, 여성 혼자 아이들을 키우는 것도 위험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어 한다. 또한 아이들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삶을 꾸려나가고 싶어 한다.

A 씨의 바람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열악한 조건에서 왔다는 이유로 더 나은 삶을 꿈꿀 기회조차 박탈당해선 안 된다. 난민들은 죄가 없다. 난민들의 새로운 삶을 응원하고 환영해야 한다. 모든 난민 신청자들을 난민으로 인정해야 한다. 또한 난민 인정은 최소한의 조처일 뿐, 생계비 지원, 주거·일자리 마련, 의료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정부가 나서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