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인도네시아 쓰나미, 막을 수 있었던 참사

쓰나미 조기 경보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었더라면 인도네시아에서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을 텐데, 돈이 없어서 그러지를 못했다.

9월 29일 규모 7.5의 지진과 쓰나미가 일어나 인도네시아를 덮쳤다. 인도네시아 도시 팔루와 동갈라에서 수백 명이 사망했다. 최종 사망자 수는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약품, 식량, 물 공급이 부족해서 생존자들은 알아서 살아 남아야 하는 처지다.

자본주의적 인재(人災) 이윤 중심 체제가 또 수많은 생명을 앗아갔다 ⓒ출처 인도네시아 정부

[그래서] 10월 1일 팔루 서부에서 사람들이 식량 운반 차량을 막아섰다.

어떤 사람들은 상점을 약탈하고 있다. 팔루에 있는 한 남성은 이렇게 말했다. “어떤 도움도 없다. 우리는 먹어야 한다. 우리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런 큰 희생은 예방할 수 있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04년 지진·쓰나미가 일어나 23만 명이 죽은 뒤 쓰나미 경보 시스템이 도입되기로 했었다. [그러나] 14년이 지난 지금도 아직 구형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새 경보 시스템이 도입됐더라면 대형 파도의 위협을 더 정확하게 탐지했을 것이다.

새 경보 시스템이 가동됐더라면, 쓰나미가 발생한 지 1~3분 안에 경보를 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시스템은 쓰나미가 시작된 지 5~45분 사이에 경보를 내리는데, 이보다 훨씬 나은 것이다.

[그런데 새] 경보 시스템 도입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관들의 예산은 감축돼 왔다. 인도네시아 재정부는 지난해까지도 해저 케이블을 구매하고 설치하기 위한 자금 지급을 미루고 있었다. 결국 올해 7월에 자금 지원이 승인됐다.

그런데 지난달 열린 관계 기관 세 곳의 회의에서는 누가 책임질 것인지를 두고 합의가 나오지 않았다. 쓰나미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관여해 온 재난 관리 전문가 루이스 컴포트는 경보 시스템 도입 프로젝트가 “그냥 보류된” 상태였다고 말한다.

인도네시아 기상청은 9월 29일 오후 6시 지진이 일어난 직후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런데 오후 6시 36분에 경보를 해제했다. 팔루에서 2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설치된 조류 감지기(이것이 가장 가까이 설치된 감지기다)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그랬다.

탐지

인도네시아 기상청의 라마트 트리요노는 이렇게 말했다. “팔루에는 조류 감지기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2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야 했고, 그에 기초해서 경보를 해제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이것이 [현재의] 쓰나미 탐지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쓰나미 감지·경보 시스템은 처참하게 실패했다. [현재 시스템에서는] 해수면에 떠 있는 부표 센서 22개가 쓰나미 발생을 사전에 경고한다.

그러나 2016년 수마트라 섬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그 센서들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국가재난방지청의 수도포 푸르오 누그로호 대변인은 그 센서들이 2012년부터 작동하지 않았다고 했다. 관리 비용이 없어서였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예산이 해마다 줄어 왔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약 55개소에 사이렌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정전 탓에 작동하지 않았다.

구조대원들이 무너진 건물 안에 남아 있는 희생자들을 찾기가 매우 힘들다. 중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 노동자와 가난한 사람들은 긴축을 하라는 국제 은행과 국내 부자들의 요구 때문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개인 2명이 소유한 부는 하위 100만 명이 소유한 부보다 크다.

부자들이야말로 약탈자다

지진과 쓰나미로 타격을 입은 도시의 사람들은 다른 도리가 없어서 상점에서 값을 지불하지 않고 생필품을 조달하고 있다.

경찰이 팔루에서 체포한 사람은 10월 2일 오전 현재 45명이나 된다. 경찰은 사람들에게 실탄도 발포했다.

쓰나미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비할 예산을 삭감한 것은 보통 사람들을 무방비 상태로 내몰았다.

그리고 이제 사람들은 또 실망하고 있다. 쓰나미 피해 이후 당국자들은 피해자들에게 생필품을 제대로 보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절망의 시기에 어떻게든 살려는 사람은 “약탈자”라고 불린다.

2010년 아이티에서 지진이 일어나 나라가 쑥대밭이 됐을 때도 같은 일이 있었다.

그런 낙인 찍기는 재난 상황에서도 ‘질서’를 유지하고 사유 재산을 지키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모든 것을 잃은 사람들이 왜 이 체제의 명령을 따라야 하는가? 체제가 친지와 가족의 생명을 앗아간 일에 책임이 있는데 말이다. 사회는 그렇게 상층부 사람들이 막대한 부를 가지도록 조직된다. 바로 그래서 밑바닥 사람들은 아무것도 가진 게 없다.

인도네시아에서 진정한 약탈자는 국제통화기금(IMF), 국제 은행들, 현지의 부자들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그 막대한 부를 손톱만큼이라도 가져갈 기회가 생긴다면, 마땅히 그래야 한다.

부유한 자유주의 언론은 보통 사람들을 비난할 자격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