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자본주의의 신화 물리치기

《우승열패의 신화》 박노자 | 한겨레신문사

저자는 이 책을 “신자유주의 퇴치 투쟁과 민주적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에 따르는 “장기간의 고된 싸움”의 일부로 펴냈다. “이 싸움에서 억압자들이 전가의 보도로 내세우는 담론구조의 구체적인 역사적 내력을 잘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은 이 목적을 훌륭하게 이뤄 냈다. 한국 사회는 경쟁으로 점철된 사회다. 끔찍한 입시 경쟁이 아이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고, 비정규직 양산은 국가경쟁력이라는 이름으로 합리화된다. “‘왜 사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게 하는 이 피곤한” 경쟁 사회의 기원은 도대체 어떻게 시작된 것일까? 왜 사람들은 경쟁이 마치 물과 공기처럼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일까?

‘경쟁’이라는 개념이 인류에게 일반화된 시기는 자본주의가 시작되면서부터였다. 자본주의는 전근대적인 ‘도덕 경제’ 체제를 밀어내면서 이윤 경쟁을 지상 목표로 만들었다.

사회진화론은 19세기 서유럽에서 나타난 이데올로기였다. 한 마디로 말해, 약육강식과 적자생존의 원칙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강한 것이 곧 정의’이고, ‘약한 것은 죄악이다.’

초기의 사회진화론은 스펜서의 이론에서 잘 드러나듯이 철저한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했다. 이것은 당시의 국가 개입 없는 자유방임 시장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합리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독일과 같은 후발 국가의 엘리트들은 사회진화론 중에서도 ‘사회유기체설’을 강조했다. 제국주의 시대에는 나라 간 경쟁이 결정적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다른 어떤 사회 세력보다 국가의 구실이 절대적이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부터 한국의 개화파 지식인 사회를 석권했던 사회진화론은 서구 제국주의의 압력의 결과였다. 스스로 부강해지지 않으면 멸망하고 말 것이라는 위기의식의 발로였다. 동아시아 삼국에서 국가주의와 근대적 국민국가의 형성이 최우선 과제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대다수 개화파 지식인들은 옛것은 모두 악이고 서구적인 ‘힘’이 선이라는 생각에서 위로부터의 엘리트주의적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실력양성’과 ‘민족개조’에 실패했다고 생각한 윤치호(“민족으로서의 한국인은 아무런 미래가 없다”) 등이 친일파의 길로 간 것처럼, 힘센 자에게 빌붙는 것 역시 이들에게는 논리상 악이 아니었다. 이들의 이런 모순은 약소국의 기생 지주들과 예속 자본가들의 처지를 반영했다.

사회진화론의 핵심 사상은 자본주의 경쟁 체제 그 자체다. 그것은 19세기에나 지금에나 여전하다. 80년 전, 현상윤은 학생들에게 “지식을 키우면서 경쟁하라. 경쟁력이 없는 자는 현대의 공기를 마실 권리조차 없”다고 말했는데, 이 말이 지금의 입시 경쟁과 얼마나 다르다고 볼 수 있을까?

그러나 약육강식의 경쟁 논리에 대한 대안 역시 가능하다. 1920년대 들어 사회진화론에 대한 도전이 나타났다. 저자가 한용운보다 비중 있게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3·1운동 등 대중적 반제국주의 운동이 그것이다.

이 대중운동의 영향은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 등의 대안 이데올로기가 확장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장병린의 불교유식론을 대신해 손문의 삼균주의나 마르크스주의가 사회진화론의 대안이 되었던 것처럼 말이다.

신자유주의 시장 경쟁과 국가주의적 군사 경쟁에 신물난 현대인들은 이 책을 꼭 읽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