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코로나 팬데믹이 드러낸 유럽연합의 실체

알렉스 캘리니코스 , 번역 김준효
317호 | 2020-04-02 |
주제: 국제, 일반적인 정치, 보건의료, 질병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중앙위원장이다.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는 정치 지도자들이 실속 없고 무능한 자들임을 드러내고 있다. 영국 보리스 존슨 정부의 체계적 실패는 보리스 존슨 자신, 보건부 장관, 수석 보건 보좌관 모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사실로 한눈에 드러났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의 무식함과 속죄양 만들기. 이를 능가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브라질 판 트럼프인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냉혹한 무능뿐일 테다.

그러나 이런 근래 우파 정치의 어릿광대 왕들을 보느라, 더 주류인 신자유주의 기구들의 지독한 행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트럼프가 백악관에 입성했을 때 유럽연합은 자신들이 공백을 메울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헛된 희망을 품었다. 유럽연합을 주도하는 정치인이자 독일 총리인 앙겔라 메르켈은 “자유 세계의 진정한 지도자”로 묘사됐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은 유럽연합의 민낯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유럽연합은 미합중국에 비견되는 유럽 연방 국가를 목표로 삼아 “어느 때보다도 긴밀한 연합”을 추구한다고 표방한다.

유럽연합에 초국가적 기관들(대표적으로는 유럽중앙은행과 유럽연합집행위원회)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유럽연합은 자본주의 국민국가들의 카르텔이다. 이 카르텔을 주도하는 것은 더 강력한 국가들, 특히 독일과 프랑스이다.

이 때문에 유럽연합은 2008~2009년 세계 금융 위기 때 그랬던 것처럼 코로나19 대유행에도 어설프게 대응했다.

첫째, [유럽연합이 아니라] 국민국가 정부들이 즉각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이들은 유럽연합 기구들보다 더 많은 자원과 정통성을 지니고 있다.

입국 제한을 결정한 것도 국민국가들이었다. 그 결과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대응은 각개약진이었고 불균등했다. 스웨덴과 네덜란드는 외출 제한과 입국 제한을 피하면서, 많은 원성을 자아낸 존슨 정부의 “집단 면역” 전략을 나름대로 추구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모든 유럽 국가들은 제각기 살 길을 찾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 팬데믹 피해가 가장 큰] 이탈리아는 3월 초에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응하지 않았다. 중국만이 의료 물자와 전문 인력을 보냈을 뿐이다. 확인되지 않은 소문에 따르면 서방으로 향하던 구호물자 일부를 체코가 탈취했다고 한다. 유럽연합이 뽐내기 좋아하는 “유럽의 연대”가 무색할 일이다.

불확실성

둘째, 경제 정책 상의 대응도 있다. 현재 경제학자들은 세계경제가 2008~2009년 대불황보다 훨씬 심각한 경기 수축을 앞두고 있다는 데에 공감하는 듯하다. 세계 금융 공황을 예측한 몇 안 되는 경제학자 중 한 명인 누리엘 루비니는 1930년대보다 훨씬 심각한 “대(大)대공황”을 경고하고 있다. 가장 불확실한 측면은 이 재앙이 얼마나 오래 갈 것인지다.

그래서 각국 정부들은 자국 경제에 자금을 가능한 한 많이 투여하고 있다. 영국 보수당 정부 재무장관 리시 수낙이 현재까지 네 차례나 잇달아 긴급 지원책을 내놓았다. 이 때문에 다음 회계년도에만 2000억 파운드[약 300조 원]에 달하는 재정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일부는 분명 빌려서 메꿔야 할 것이다.) 2018~2019 회계년도의 적자 규모는 255억 파운드[약 38조 원]였다.

독일 연립정부는 3560억 유로[약 477조 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편성했는데, 이는 국민소득의 10퍼센트 정도 되는 규모다. 독일 정부는 경제적 미신에 기반을 둔 적자재정 금지 원칙(이른바 “검은 0” 규칙)을 세우고는 유로존에 이를 강요해 왔는데, 이제는 자기가 그 원칙을 어기고 있다.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 "연대"는커녕 모든 유럽 국가들은 제각기 살 길을 찾고 있다 ⓒ출처 GovernmentZA(플리커)

한편, 이탈리아 같이 상대적으로 약한 회원국들은  2012년 유럽 재정협약 같은 제도들 때문에 손발이 묶여 있다. 이 협약에 따르면 유럽연합집행위원회는 회원국의 예산을 단속하고 국가 부채를 제한할 수 있다. 이 협약은 지난 유로존 위기의 추악한 유산으로, 이 협약 때문에 당시 그리스·아일랜드·스페인·포르투갈에서 긴축이 강요됐다.

지난주 유럽연합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유럽의회에서도 비슷한 형국이 펼쳐졌다. 주로 남유럽 국가들이 한 편을 이루어 “코로나 채권”을 발행해서 유럽연합 회원국 정부들이 공동으로 돈을 빌릴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메르켈이 지지하는, 부유한 북유럽 국가들의 소위 “한자 동맹”에 의해 좌초됐다. 이로써 경제가 비상사태인 와중에 신자유주의적 건전화폐 숭배가 다시 한 번 승리했다.

좌파 성향의 전 그리스 재무장관 야니스 바루파키스가 이렇게 반응한 것이 놀랍지 않다. “유럽연합은 우리에게 피해를 끼치는 것 외에는 다른 능력이 없습니다. 저는 브렉시트에 반대했지만 지금은 영국이 그 이유야 틀렸을 망정 옳은 일을 했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출처: 영국의 혁명적 좌파 신문 〈소셜리스트 워커〉 2698호

[신간 추천]
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

마이크 데이비스, 알렉스 캘리니코스, 마이클 로버츠, 우석균, 장호종 외 지음, 장호종 엮음, 2020년 3월 31일, 208쪽, 12,000원, 책갈피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코로나19로부터 자본주의만 구제하려 드는 지배자들

2020-03-18
알렉스 캘리니코스

[재게재] 유럽연합의 역사:
유로존과 유럽연합은 노동자들에게 불리하다

2019-01-17
차승일

[재게재]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찬반 논쟁:
유럽연합에 관한 여섯 가지 신화

2019-01-17
토마시 텡글리-에반스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유럽회복기금이 유럽연합의 분열을 잠재울 수 있을까?

2020-05-27
알렉스 캘리니코스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코로나19로 새롭게 등장한 정치 문제들

2020-09-29
알렉스 캘리니코스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