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기본입장
    • 규칙
    • 웹사이트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 홈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이론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기본입장
    • 규칙
    • 웹사이트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미국 경찰의 계속되는 흑인 총격:
인종차별적 체제에 맞서 계속 투쟁하다

333호 | 기사입력 2020-08-26 20:37 |
주제: 국제, 북미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미국을 뒤흔든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경찰이 29세 흑인 청년 제이컵 블레이크의 등을 7번이나 쏘자, 분노한 사람들이 거리로 나왔다. 8월 25일 미네소타주 시위 ⓒ출처 CAIR-MINNESOTA

미국에서 한 주 새 경찰이 흑인 두 명을 총으로 쏜 일을 계기로 경찰의 인종차별적 살해에 대한 분노가 또다시 거리로 터져 나왔다.

8월 21일 루이지애나주(州) 라피엣에서 트레이포드 펠러린이 경찰에게 살해당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루이지애나주 지부는 경찰을 규탄하며 “경찰 폭력이 낳은 끔찍한 사망 사건”이라고 했다.

라피엣의 시위대는 통금에도 아랑곳 않고 펠러린의 죽음을 규탄하며 도로를 봉쇄했다.

위스콘신주 케노샤에서는 흑인 제이컵 블레이크가 직사거리에서 경찰에게 총을 7발이나 맞았다. 피격 당시 블레이크는 자기 차에 타려는 중이었고 3세·5세·8세 자녀들이 그 차 뒷좌석에 타고 있었다.

8월 25일 현재 블레이크는 입원해 중태에 빠져 있다.

위스콘신주 주지사는 주방위군을 동원해 시위대를 위협하고 해산시키려 했다. 그러나 시위대는 굴하지 않고 정의를 요구하며 행진했다.

시위 참가자 한 명은 이렇게 말했다. “경찰의 손에 죽을까 봐 두려워하는 것도 이제 지겨워요. 오늘 밤에는 저들이 우리 목소리를 들어야 할 것입니다.”

미니애폴리스에서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에 살해당한 것을 계기로 대규모 시위가 분출한 지 세 달이 흘렀다. 그간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은 각종 기구나 제도에 뿌리박힌 인종차별을 정치 쟁점으로 부상시켰고 기성 체제를 뒤흔들었다.

흑인 살해가 체계적 인종차별의 산물이라는 지적이 옳았음이 이번 사건들로 재차 확인됐다. 계속 투쟁해야 한다는 것 또한 보여 준다.

두 사건은 이미 허다하게 벌어지는 일들의 한 사례일 뿐이며 미국 국가가 얼마나 폭력과 인종차별을 일삼고 있는지를 보여 준다.

흑인 남성이 경찰을 만나게 됐을 때 살해당할 확률은 백인 남성보다 2.5배 높다.

미국 경찰은 지난 5년 동안 매년 1000명 넘게 사람을 죽였는데 올해도 그러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올해 경찰에 의한 총격 사망 사건이 이미 651건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은 실질적인 성과를 쟁취해 왔다. 운동의 압력에 밀려 몇몇 도시에서는 경찰 예산을 삭감하고 경찰 권한을 축소하고 교도 시설을 폐쇄·축소했다.

그러나 경찰을 인종차별적이지 않게 개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경찰 기구의 인종차별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찰이 하는 구실에서 나오는 것이다.

경찰은 평범한 사람들을 지키거나 범죄를 해결하려 있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최초의 근대적 경찰인 영국 경찰은 외국에서는 식민지를 정복하고 본국에서는 노동계급 운동의 성장을 억누를 필요성에서 생겨났다.

경찰의 구실은 노동계급 사람들을 단속해서 체제의 원활한 운영에 일조하는 것이다.

지배계급은 평범한 사람들을 계속 갈라놓으려고 인종차별을 퍼뜨린다. 이러한 인종차별 사상이 경찰 내부로도 퍼지고 배양돼, 경찰이 흑인들을 표적 공격하는 것이다.

특히 미국에서 흑인과 히스패닉 청년들은 잠재적 범죄자나 강도, 폭력배의 일원으로 매도된다.

이 체제의 인종차별을 근절하려면 인종차별의 근원인 자본주의 사회 체제를 뿌리 뽑아야 한다.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은 체제와 대결하는 투쟁의 자극제가 돼야 한다.


이 글은 영국 반자본주의 주간지 〈소셜리스트 워커〉 2719호에 실린 ‘Challenge the system to fight for black lives’을 번안한 것이다.

[추천 기사·책 모음]
미국 경찰의 조지 플로이드 살해: 인종차별 반대 항쟁 분출하다 “정의 없이는 평화 없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트럼프의 연방 병력을 물리친 포틀랜드:
현지 사회주의자들이 전하는 운동의 현황과 과제

2020-08-05
숀 커밍 · 밥 베이컨

미국:
시위 강경 진압으로 위기 돌파하려는 트럼프
— 뜻대로 되지 않고 있다

2020-07-29
김준효

미국을 뒤흔든 인종차별 반대 운동 앞에 놓인 것

2020-07-01
김준효

미국의 인종차별과 혁명

2020-06-03
유리 프라사드

미국 마르크스주의 단체 성명:
경찰 폭력과 우익 자경단의 테러 규탄한다

2020-08-30
마르크스21  미국의 반자본주의 단체

미국 대선:
인종차별 부추겨 지지층 다지는 트럼프

2020-09-02
김준효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노동자 연대⟩ 소개 | 전체 주제 |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정기구독 이용 약관 정기구독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연락
대표전화 02-777-2792 기사제보 02-777-2791
팩스 02-6499-2791 이메일 ws@wspaper.org
주소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정기구독/후원
입금계좌
국민은행 020601-04-080896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발행인 김인식 편집인 김인식
사업자 등록번호 104-86-18859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등록일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