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국제
  • 차별
  • 경제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대의제 민주주의는 왜 언제나 대중을 저버릴까?

유리 프라사드 , 번역 김준효
350호 | 2020-12-29 |
주제: 일반적인 정치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민주주의’는 가장 남용되는 단어 중 하나다.

국회의원들은 시위에 나선 학생들에게 의회를 존중해야 한다고 뻔뻔하게 훈계를 늘어놓는다. 자기네는 선거에서 이기려 거짓말하기 일쑤면서 말이다. 동시에 전쟁광 지도자들은 자기네가 다스리고 싶은 나라들에 점령군을 파병하겠다고 대중의 의사를 거스른다.

우리는 의회 민주주의가 대중의 의사를 가장 잘 대변하는 체제라고 배운다. 하지만 의회 민주주의의 근저에는 모든 유권자가 평등하다는 거짓말이 있다.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대기업 사장들도 나머지 사람들과 똑같이 한 표만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형식적으로는 평등하지만 실질적 평등은 이뤄지지 않는다 ⓒ사진공동취재단

하지만 사장들은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수많은 사람들을 해고하고, 말 한 마디로 임금을 깎을 수 있다.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으면서 말이다.

은행가·금융가들이 돈으로 더 많은 표를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런 자들은 부를 해외로 옮기겠다고 위협해 정부가 긴축 정책을 펴도록 압박한다.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삶이 그런 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이런 선출되지 않은 남성들과 때때로 여성들이 사회를 운영하고 군대·경찰·언론·첩보 조직들을 통제하는 자들도 그 일원이다.

그런 사람들도 한 표씩만 행사할 수 있지만, 권력은 “보통 시민들”에 비할 바 없이 막강하다. 심지어 선출된 정부보다도 훨씬 막강한 경우도 있다.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이 의회 민주주의를 반대하는 것은 전체주의 독재를 지지해서도, 대중을 우매하다고 생각해서도 아니다.

노동계급이 이제껏 투쟁으로 쟁취한 그나마의 권리들을 가벼이 여겨서도 아니다.

자본주의 하에서 민주주의는 결코 충분히 민주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이 혁명가 칼 마르크스가 1871년 파리 코뮌을 보며 지적한 핵심 논지다.

당시 노동자들은 자기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해 들고 일어났고, 자신들의 의사를 반영할 새로운 기구를 만들어냈다.

파리 코뮌의 교훈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이 새롭고 더 급진적인 민주주의의 기초가 될 수 있다며 세 가지를 핵심 특징으로 꼽았다.

첫째, 파리 코뮌에서는 모든 노동하는 남성들에게 대표자를 선출할 권리가 있었다.

다른 나라들보다 수십 년 앞서 재산이 없거나 적은 사람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한 것이다.

둘째, 선출된 대표자들은 그들을 선출한 사람들과 같은 임금을 받았다.

셋째, 코뮌은 입법부와 행정부를 겸했다.

간단히 말하면, 코뮌이 법을 제정하고 집행도 직접 했다는 것이다.

그 덕에 이 신생 권력은 자신의 공약을 실현하고, 공장주·금융업자들의 기득권에 도전할 수 있었다.

지배계급은 그런 도전을 용납하지 않았다. 코뮌이 수립된 지 석 달 만에 지배자들은 군대와 폭력배를 이끌고 이 급진적 민주주의를 분쇄하려 쳐들어왔다.

안타깝게도 혁명 세력은 지배자들의 도전을 물리치기에 충분한 힘을 조직하는 데에 실패했다.

마르크스가 보기에 핵심적 교훈은, 자본가 계급은 자신들을 방해하지 않는 한에서만 민주주의를 허용하리라는 것이었다.

이 자본가 계급의 한 줌도 안 되는 자들이 부를 모두 통제할 권리를 갖고 나머지 모든 사람들의 권리를 제멋대로 정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진정으로 민주적인 사회를 건설하려면 바로 이 자본가 계급의 권력과 권위에 도전해야 한다.

파리 코뮌 이후 한 세기 동안 거듭거듭, 의회 민주주의에 맞서 파리 코뮌과 비슷한 대안이 부상했다.

러시아에서 1905년과 1917년에, 독일과 헝가리에서 1919년에, 스페인에서 1936년에, 헝가리에서 1956년에, 포르투갈에서 1974년에, 이란에서 1979년에 그랬다.

그런 대안이 혁명기에 부상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혁명은 한 줌의 혁명가들이 용기를 낸다고 벌어지는 것이 아니다.

노동계급이 일상 조건을 지키기 위해 벌이는 투쟁이 자본가들의 권위를 위협하고 자본가들이 이를 다잡고자 작정하고 충돌하는 상황에서 혁명은 벌어진다.

매번 벌어지는 시위·파업·소요 하나하나에 훗날 혁명을 꽃피울 씨앗이 있다.

사회주의자들은 모든 투쟁에 함께하며 진정한 민주주의가 어떤 모습일지 제기함으로써 그런 혁명의 씨앗이 싹을 틔울 토양을 일굴 수 있다. 

출처: 영국의 혁명적 좌파 신문 〈소셜리스트 워커〉 2230호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마르크스21》] 민주주의의 성격을 묻는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2020-11-07
폴 르블랑
“민주주의는 위로부터가 아니라 아래로부터 나온다.” 하워드 진이 자신의 …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노동계급

2013-01-05
천경록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