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 홈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이론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해외 택배 노동자들의 저항:
과로, 저임금, 코로나19 위험 노출 … 한국만의 일이 아니다

양효영
353호 | 기사입력 2021-01-20 22:02 |
주제: 노동자 운동, 비정규직, 서비스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전 세계 빅3 택배 회사 중 하나인 UPS와 거대 물류 기업 아마존 노동자의 모습.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이들의 일상은 매일매일이 크리스마스 성수기나 다를 바 없다 ⓒ출처 IMF Photo Cory Hancock, Michael Shea

과로에 시달린 택배 노동자들의 안타까운 죽음이 계속되고 있다.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전 세계 곳곳에서 택배 노동자들의 고통도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 등 비대면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 세계 택배 산업계 ‘빅3’라고 할 수 있는 DHL, FedEx(페덱스), UPS는 막대한 영업이익을 누렸다.

DHL의 2020년 3분기(7~9월) 영업이익은 그 전 해 동기 대비 65퍼센트 늘어나 7억 5000만 유로(약 1조 210억 원)를 기록했다. 페덱스의 2020년 2분기 영업이익은 165퍼센트 증가해 15억 달러(약 1조 6000억 원)로 치솟았다.

미국 아마존 등 물류업체들도 커다란 이익을 봤다.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는 지난해 8월 자산 가치가 2000억 달러(약 239조 5000억 원)를 돌파했다.

택배 업체들은 이윤을 쓸어 담을 기회를 놓치지 않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노동자들을 쥐어짜고 있다. 노동자들은 급격히 높아진 노동강도와 코로나19 위험에 노출돼 있다.

미국의 좌파 월간지 《레이버 노츠》는 미국 우편 노동자와 UPS 노동자들이 한 달 내내 거의 쉬는 날 없이 12~14시간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실태를 보도했다. 테네시주(州) 녹스빌의 한 노동자는 팬데믹 이후 매일 오전 6시부터 밤 9시까지 일하는 게 일상이 됐고 33일 연속으로 일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주(州) 시애틀에서 일하는 UPS 배송원은 CNN에 말했다. “주 60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제가 일 나갈 때 아이들은 자고 있어요. 집에 돌아올 때도 대부분 자고 있죠. 집에 오면 저도 죽을 만큼 피곤해요.”

아마존은 수많은 하청업체에 배송을 위탁해 비용을 줄이려 한다. 배송 노동자들은 아마존 로고가 찍힌 유니폼을 입지만, 간접고용 비정규직이거나 우리나라의 특수고용 노동자처럼 ‘위장 자영업자’ 취급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장시간 과로에, 노동법도 제대로 적용받지 못하고 있으며, 건강보험도 대체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사장은 돈방석, 노동자는 푼돈

한 아마존 하청 배송 노동자는 〈바이스〉지에 이렇게 말했다. “여기서 일하면서 정말 착취당하고 기만당한다고 느껴요. 저들은 이 위기를 이용해 돈방석에 앉는데, 막대한 일을 하는 우리에게는 푼돈만 줍니다.”

당연히 식사할 시간도 없이 물량을 소화해야 한다. LA 지역의 한 여성 배송원은 할당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동료 중 누구도 점심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남자들은 물병에 소변을 볼 수 있지만 저는 그럴 수 없잖아요. 그런 사태가 벌어지면 몇 시간 동안이나 소변을 참고 있어요. 이건 너무 심하다 싶어서 매니저에게 점심 시간 때 일하지 않겠다고 말했어요.”

이런 처지는 적은 인력으로 과중한 배송 물량을 소화하느라 일하는 중에 컵라면과 초코파이로 끼니를 떼우는 한국 노동자들과 꼭 닮았다. (관련 기사 본지 345호 ‘한진택배 노동자 동행 취재: “쉴 틈 없는 14시간, 가족과 저녁 먹는 게 소원이에요”’)

코로나19 동안 방역 조처를 지키라는 택배 노동자들의 저항도 계속돼 왔다.

팬데믹 초기, 택배 업체들은 방역 용품도 지급하지 않고 노동자들을 배송에 투입하려 했다. 지난 4월, 한 UPS 기사가 사측의 안이한 방역 조치를 폭로했다가 해고당하자 동료 노동자들이 항의해 복직하는 일이 있었다. 같은 달 미네소타주에서도 아마존 사측의 부실한 방역 조처에 우려를 제기하며 출근을 거부했다가 해고당한 노동자가 동료들의 파업 끝에 복직할 수 있었다.

중국에서는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택배 노동자들의 파업이 산발적으로 벌어져 왔다.

홍콩에 있는 중국 노동운동 지원 단체인 중국노동회보(CLB)는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중국 전역에서 택배, 배달 노동자들의 파업과 저항이 34건 벌어졌다고 발표했다. 대부분 임금 인상을 요구하거나 임금 체불에 항의하며 벌어졌다.

중국 택배 노동자들은 주 6일, 하루 12시간 이상 일하지만 한 달에 버는 돈은 평균 한화 80만 원에도 못 미친다. 택배 노동자들은 한국과 비슷하게 건당 수수료를 받는데 업체들이 매년 수수료 단가를 낮춰 왔기 때문이다.

한국 택배 노동자들의 투쟁은 이런 세계적 투쟁의 일부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증보]
유리한 정세 속에 성과 거둔 택배 노동자 투쟁

2021-01-20
​박설 · 신정환

뒤통수 택배사, 뒷짐 정부, 택배노조 전면 파업 예고

2021-01-27
신정환

뒤통수 치려는 사측에 맞서:
단호한 투쟁 태세로 택배 노동자들이 성과를 얻다

2021-02-01
신정환

과로사 대책 합의 한 달도 되지 않아 해고에 나선 택배사들
— 해고 철회하고 노조 탄압 중단하라

2021-02-22
신정환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노동자 연대⟩ 소개 | 전체 주제 |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정기구독 이용 약관 정기구독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연락
대표전화 02-777-2792 기사제보 02-777-2791
팩스 02-6499-2791 이메일 ws@wspaper.org
주소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정기구독/후원
입금계좌
국민은행 020601-04-080896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발행인 김인식 편집인 김인식
사업자 등록번호 104-86-18859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등록일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