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오미크론 변이 ─ 왜 지배자들은 코로나19 대응에 이토록 쩔쩔매나

세계적 차원에서 부와 권력의 서열을 드러낸 백신 공급. 부국들은 바이러스가 빈국들을 휩쓸도록 내버려 뒀다 ⓒ출처 미 국방부

몇 주 전 나는 저명한 경제학자 조너선 포티스의 글을 읽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끝을 맺었다. “코로나는 크리스마스까지이지만 브렉시트는 평생 갈 것이다.” 당시에 나는 이 말이 브렉시트에 대한 견해를 떠나서 우습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가 기승을 부리는 지금, 이 말은 훨씬 더 우습게 들린다.

[바이오 연구 재단] 웰컴트러스트의 사무총장 제러미 파라는 〈가디언〉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바이러스가 퍼지기 시작한 지 2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팬데믹의 종식보다는 시작에 더 가깝다”고 썼다. 이것은 자본주의 권력층이 회피하려 애쓰는 진실이다.

영국 총리 보리스 존슨은 그런 회피의 한 극단적 사례다. 존슨은 올여름 방역 조처 대부분을 완화한 뒤 치솟은 감염율과 백신 접종이 결합돼 영국이 집단면역을 획득할 수 있으리라 여겼다. 이제 존슨은 에드워드 루스가 〈파이낸셜 타임스〉에 쓴 대로 “한 나라 차원의 집단 면역은 가능하지 않다”는 현실에 직면했다.

사회 상층의 지배계급이 코로나19 대응에 이토록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쨌든 그들은 막대한 자원을 가동시킬 수 있고, 가장 발달한 과학 지식과 가장 정교한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데도 말이다.

첫째 이유는 자본주의가 (인간 사회도 그 일부인) 자연을 그저 인간이 장악할 대상이자 원료 저장고로만 대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하에서는 자연 파괴가 심각해질수록 기술적 해결책에 대한 의존이 커진다. 기후 변화 대응에서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지배계급 주류는 화석연료 자본주의를 해체하는 게 아니라 그 피해를 완화시켜 줄 기술이 등장하는 데에 도박을 걸고 있다.

백신도 기술적 해결책의 또 다른 사례다. 내 말을 오해하지 마시라. 효과가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빠르게 개발한 것은 수많은 생명을 구한 놀라운 과학적 성취다. 나도 부스터샷을 하루빨리 맞고 싶다.

그러나 자연은 역동적인 변화 과정의 복합체다. 이는 상상할 수 없이 거대한 다중 우주(우리 지구는 그것의 극히 작은 일부일 뿐인)라는 거시적 수준에서도 진실이고, 바이러스가 생겨나 되도록 많은 세포를 집어삼키며 번식하려 애쓰는 미시적 수준에서도 진실이다.

따라서 백신이 인체 세포에 구축한 방어벽을 더 잘 우회할 수 있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적 변이가 자연 선택 과정에 따라 발현되리라는 것은 충분히 예측 가능한 일이었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이 그렇게 예측했었다. 오미크론 변이의 등장은 바로 그런 변이가 도래한 것으로 보인다.

화이자

여기서 둘째 이유가 나온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자연과 맺는 상호작용은 일차적으로 인간의 노동을 통해 이뤄진다고 했다. 하지만 그 관계 자체는 지배적 생산관계에 따라 구성된다. 지금의 지배적 생산관계는 자본의 임금노동 착취에서 비롯한 계급 적대와, 서로 적대하는 기업·국가들 사이의 경쟁적 쟁투다.

이런 상황의 결과 하나는 백신이 이윤을 위해 생산된다는 것이다. 최대 백신 생산 기업인 화이자는 내년 출시할 백신으로 290억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 투자 분석가는 화이자 백신(사실은 독일 기업 바이오앤테크가 개발했다)을 “일생일대의 횡재”라고 불렀다.

게다가 백신 공급은 세계적 차원에서 부와 권력의 서열을 드러냈다. 부국은 자국민을 위한 백신을 차지했지만 바이러스가 빈국들을 휩쓸도록 내버려뒀다.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G7 국가들에서는 국민 66퍼센트가 백신 접종을 2회 받았지만, 아프리카에서는 그 수치가 6퍼센트에 불과하다.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에서 부스터샷을 맞은 사람의 수는 소득 수준이 낮은 나라에서 백신을 한 번이든 두 번이든 맞은 사람의 수보다 거의 두 배 많다.”

이런 어마어마한 불평등은 새 변이가 배양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 그런 변이는 백신 접종을 맞지 않은 사람, 특히 면역 체계가 취약한 사람에게서 성장할 수 있다. 오미크론 변이에 많은 사람이 감염됐기 때문에 이 변이는 이전 감염 혹은 백신 접종으로 획득한 면역을 우회할 수 있을지 모른다.

이 모든 것에서 얻을 교훈은 “모두가 안전할 때까지는 아무도 안전하지 않다”는 유엔의 말 그 이상이다.

자본주의는 생명을 위협한다. 자본주의를 제거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설정할 때만 인간은 진정으로 안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