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미얀마 항쟁 1년:
저항이 확산되고 도시로 돌아와야 한다

지난해 3월 14일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행진하는 시위대의 모습 ⓒ출처 Myanmar Now

미얀마에서 군부가 쿠테타로 정권을 장악한 지 1년이 지난 현재 거리는 고요하다. 그러나 1년 전 당시 재선된 아웅산 수치 정부를 제거하려는 쿠데타가 벌어진 직후 수 주간 거리는 저항으로 불타올랐었다.

수많은 민주주의 시위대가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을 마비시키고 국가의 공격에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바리케이드를 쌓았다. 바리케이드 뒤에서는 젊은 활동가들이 화염병에 기름을 채우고 중무장한 경찰과 군부 ‘탓마도’에 맞서 그것을 던질 준비를 했다.

이런 광경은 미얀마 전역의 크고 작은 도시에서 반복됐다. 군부는 활동가로 보이는 수많은 사람들을 잡아들였다. 이들 중에는 쫓겨난 아웅산 수치가 이끄는 민족민주동맹(NLD)의 인사들이 다수 있었지만 훨씬 젊고 더 급진적인 활동가들도 있었다.

그 후 파업이 일어났다. 군부가 민간인을 상대로 벌인 끔찍한 유혈 폭력을 목격한 의사들과 의대 학생들이 먼저 파업을 주도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공무원, 교사, 석유·가스 노동자들까지 파업에 나섰다.

지역 주민들은 자기 동네를 지키려고 바리케이드를 쳤고 밤마다 경찰과 전투가 벌어졌다.

그러나 하루하루 시간이 지나면서 저항은 가라앉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떠나 외곽의 농촌에서 피신처와 식량을 찾아야 했다. [국제 아동 구호 단체인] ‘세이브 더 칠드런’은 아동 15만 명을 포함해 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던 집을 버리고 떠난 것으로 추산한다.

수많은 작업장이 멈추다시피 하자 국가 경제는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군부 정권은 여전히 권력을 유지하고 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말이다. 전투는 대부분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했고, 특히 북부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곳은 미얀마 국가가 통제하는 데에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은 곳이다.

최근 몇 달간 군부는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친 주와 사가잉 주, 방글라데시와 인접한 리카인 주 등 더 많은 영토에서 통제력을 잃었다.

군부가 버틸 수 있는 단연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제국주의가 하는 구실 때문이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을 이끄는 중국은 그 지역의 안정과 중국의 지배력을 유지하는 것을 우선한다.

중국은 아웅산 수치의 절반짜리 민주주의 정부에 비교적 만족스러워 했지만, 질서가 유지되기만 한다면 군부 지배 체제도 용납하려 한다.

미얀마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미얀마 내에서 벌어지는 소수민족 기반의 저항은 국경을 넘어 인근 국가들로까지 전염될 잠재력이 있다. 중국은 결단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려 한다.

그래서 아세안은 지난해 회의에서 미얀마 군부의 참가를 거부하면서도, 군부에 대한 어떠한 중대 조치도 합의되지 않게 했다. 미국은 말로는 기꺼이 군부를 비판하고 있고, 고위층에 대한 제한적 제재도 부과한다. 그러나 미국도 중국과 같은 이유로 미얀마의 안정을 바라는 주변의 동맹국들을 거느리고 있다.

이른바 “국제 사회”가 가만히 앉아 지켜만 보고 있을 태세인 가운데, 미얀마 군부는 저항이 국경 너머로 확산되지만 않으면 이 전쟁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바로 이 점 때문에 군부에게는 민주주의 투사들이 도시 바깥으로 밀려난 것이 축복과도 같은 일인 것이다. 미얀마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려고 싸우고 있는 몇몇 주들에서 군부가 통제권을 계속 잃어 가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군부는 도시를 계속 통제하는 한 권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과거에는 1988년에 그랬던 것처럼 군부가 민족민주동맹과 거래를 시도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민족민주동맹은 이제 가장 결연한 민주주의 투사들에 대한 주도력을 크게 잃어 버린 상태다.

이런 활동가들이 승리하기 위한 관건은 저항이 미얀마 전역으로, 나아가 미얀마 너머로 확산되는 것이다. 저항은 도시로도 다시 돌아와야 한다. 도시에서 군부와 또다시 대치하게 된다면 군부가 국가 전체를 통제할 능력을 무너뜨릴 수 있다.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