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5ㆍ3 동의대 사건 민주화 운동 인정 - 5ㆍ3 동의대 사건의 진상 규명을 바라며

5·3 동의대 사건 민주화 운동 인정 - 5·3 동의대 사건의 진상 규명을 바라며

윤창호(민주노총 전국운송하역노조 조직국장)

나는 1989년 5·3 동의대 사건으로 무기 징역형을 선고받은 바 있다. 지난 4월 27일 ‘민주화 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심의위원회’는 동의대 사건 관련자들을 민주화 운동 관련자로 인정했다. 그 뒤 한 달이 다 돼 가는 지금도 논란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우리를 이해하는 사람들보다 오히려 이런 결정에 반발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더 크게 들린다. 그러나 나는 우리 사회에서 5·3 동의대 사건이 이야기되는 것만으로도 명예 회복을 신청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단지 명예 회복 조치와 금전적 보상이 아니다.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사건을 다시 재조명하고 재조사해 진상을 규명하자는 것이다.

노태우는 1987년 6월 항쟁 뒤 양김 분열에 힘입어 권력을 틀어쥐었다. 그러나 이미 봇물처럼 터져나오는 민주화 요구들을 가로막을 수는 없었다. 19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노태우 정권의 대선 공약인 중간 평가가 사회 쟁점이 됐다. 노태우는 다시 공안정국을 조성해 민주화 운동 세력을 무력으로 탄압했다. 이 때 만들어진 것이 안기부·검찰·경찰을 총망라한 공안합동수사본부다. 노태우는 시위 진압 경찰에게 총기를 지급하고 과격(?) 시위대에게 총기 발사 조치를 지시했다. 노태우는 1989년 4월 30일 연세대에서 열린 노동절 기념 전국 노동자 대회를 무자비한 폭력으로 진압했다. 이에 분노한 대학생들은 전국에서 일제히 5월 1일 항의 집회를 열었다. 동의대도 5월 1일 공안 합수부 해체와 노동 운동 탄압 규탄 집회를 가졌다. 이 때 학교 앞 파출소장이 칼빈 소총으로 시위대를 향해 20여 발의 실탄을 난사하는 일이 벌어졌다.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한 것은 노태우가 집권한 뒤 처음 있는 일이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이것이 동의대만이 아니라 민주화 운동 전체에 대한 선전 포고였다는 것이다. 우리는 5월 2일 또다시 집회를 열었다. 이 때 경찰은 관할서가 아닌 부산 시경 소속 무술경관들로 전진 배치할 만큼 민감하게 받아들였다. 이 집회에서 학생 8명이 연행됐고 시위대로 위장해 시위대에 끼어 있던 5명의 사복 경찰을 학생들이 붙잡으면서 연행 학생 교환 문제가 대두됐다. 1백여 명의 학생들이 도서관 점거 농성에 들어갔다. 우리는 경찰이 연행한 학생들과 우리가 붙잡은 경찰들에 대해 밤새 토론했다. ‘지금 쟁점은 총기 난사 부분이지 연행 학생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희석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고 다음 날 붙잡은 경찰을 풀어 주겠다고 경찰쪽에 통보했다. 그러나 경찰은 5월 3일 새벽 5시경 수백 명의 전경을 도서관에 투입해 강제 진압을 시작했다.

그 날 새벽 화재는 모든 것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학생들은 옥상으로 대피했다. 마지막 학생이 피하려는 순간 나는 경찰 1명과 맞닥뜨렸다. 우리는 서로 흠칫 놀랐고 나는 동료 학생이 무사히 옥상까지 갈 수 있는 시간을 벌어야겠다는 생각에 화염병 1개를 던졌다. 그리고 바로 옥상으로 올라 왔다. 몇 분 뒤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이 같은 정황은 화재 현장에 학생이 없었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가 화재의 진실에 조금이나마 접근하게 된 것은 당시 화재 현장에서 살아남은, 그것도 중화상을 입었던 경찰들이 법정에서 당시 상황을 증언하면서였다. 당시 학생들이 방어 수단으로 던진 화염병은 바로 꺼졌다. 두세 개 남은 불똥은 소대장이 전경을 시켜 끄게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갑자기 시꺼먼 연기와 함께 대형 화재가 일어났다.

우리는 검찰이 법원에 제출하지 않은, 사건 직후 현장 비디오 테이프와 사건 자료 일체 공개 그리고 화인 감정서 제출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런 요구는 묵살됐고 재판은 학생들이 지른 불에 의해 7명이 죽었다는 결론을 내린 채 끝났다.

그 때 나와 함께 처벌받은 사람들은 13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의 아픔을 떨쳐 버릴 수 없다. 우리가 겪은 신체적 고통과 살인마라는 정신적 무게도 견디기 힘들었지만 무엇보다 동시대의 젊은이들이 죽어 갔던 현장에 있었던 사람으로서의 책무는 13년 동안 우리 삶을 짓누르고 있다. 그 때의 죽음을 제대로 자리매김하려면 진실이 무엇이고 동의대 사건이 갖는 역사적 교훈이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아무쪼록 최근 논란이 진실에 좀더 가까이 다가가는 계기가 되고 실제 노력으로 이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