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한국 역사를 이끌어 온 청소년 투쟁의 전통

청소년들의 저항이 한국 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지금의 청소년들은 1997년 IMF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가 만연한 상황에서 초등학교에 입학한 세대들이다. 구조조정과 정리해고, 명예퇴직, 비정규직화가 이들의 부모를 강타했지만 부자들은 그동안 더욱 배를 불렸다.

신자유주의는 자신들의 문제이기도 했다. 입시지옥 속에 학생들은 다크써클에 쩔어 갔지만, 그렇게 한들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들은 잘 알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 모순과 억압에 찌들어 있던 청소년들의 저항이 폭발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한국 현대사에서 청소년들은 사회의 모순과 불의에 저항해 온 전통이 있다. 1960년 4·19 혁명 직후 일본 〈외교시보〉는 이렇게 적었다.

[4·19에서] 고등학생의 활약이 눈부셨던 것은 한국 사회의 특질에 뿌리박은 역사에 유래하는 것 …. 일본의 통치시대부터 민족운동, 사회운동에 있어서 때때로 커다란 역할을 수행했던 것은 당시의 고등보통학교 학생이었다.”

일제시대 고등보통학교는 각종 민족해방·사회주의 이념 써클들의 온상이었고, 1929년 광주 고등학생들이 촉발한 운동은 6·10 만세 운동과 더불어 3·1 운동 이래 가장 큰 대중항쟁으로 발전했다.

1960년 4·19 혁명의 불을 댕긴 것도 고등학생들이었다. 당시 이승만은 3월 15일 예정된 선거에서 대규모 선거 부정을 계획해 독재를 연장하려 했다. 이에 항의해 2월 28일 대구고, 경북고 등의 학생 8백여 명이 등교를 거부하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이들의 행동에 자신감을 얻은 고등학생들이 마산, 서울, 대전, 청주, 부산 등 각지에서 공명선거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조금씩 행동에 나서기 시작했다.

4·19 혁명

현재 이명박의 미친 소 옹호론만큼이나 당시 이승만의 선거 조작은 한편의 블랙코미디였다. 이승만은 군부대에서 유권자 수의 1백20퍼센트나 되는 표를 얻었다!

결국 고등학생들의 분노가 3월 15일 마산에서 폭발했다. 시위대를 향한 경찰의 무차별 발포로 7명이 그 자리에서 사망했고, 이에 더욱 분노한 학생·노동자 들은 여당 사무실, 경찰서를 공격했다. 서울의 고등학생들은 “마산 동포 구출하자” 하고 거리로 뛰쳐나왔다.

4월 11일 마산상고의 김주열 학생이 최루탄이 눈에 박힌 채 시신으로 발견되자 시위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됐다. 수많은 하층 노동자들이 거리의 전투에 가세했다. 4월 18일에는 서울의 대학생들도 움직이기 시작했고 결국 4월 19일 혁명으로 발전했다.

지배자들의 어처구니없는 태도는 옛날에도 비슷했다. 이승만은 “이 난동에는 배후에 공산당이 있다”, “영향력을 넓히려는 천주교의 공작”이라고 했다. 그러나 벌거벗은 임금님 노릇하던 이승만은 결국 퇴진했다. 이승만이 ‘탄핵’되던 그날 10대들은 이승만 동상을 쓰러뜨리고 줄에 묶어 끌고 다니는 것으로 자신들의 승리를 축하했다.

1980년 광주항쟁에서도 고등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광주항쟁을 잘 기록한 소설가 황석영 씨는 당시 고등학생들의 저항을 이렇게 서술한다. “고등학생들은 방과 후에 20~30명씩 짝을 지어 시위대에 가담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물불을 가리지 않는 10대 특유의 열정 때문인지, 무수한 희생을 내면서도 자신들의 몸 전부를 아무 두려움 없이 공수부대의 돌격 전면에 내던졌다. 고등학교 학생의 희생은 가장 컸으며 그들의 싸움은 시민들 가슴 속에 잠재돼 있던 공포를 모두 날아가게 해 주었고, 한편으로는 고통과 슬픔으로 가득 차게 했다.” 고등학생들의 처절한 항쟁은 광주 시민들의 폭발적인 참가를 이끌어 냈다. 정부는 “청소년 여러분,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무기를 반납하고 귀가하라”고 위협했지만, 그들은 아랑곳하지 않고 “내게 총을 주세요. 나도 싸울 수 있어요” 하고 광주 시민군에 자원했다.

1987년 민주화항쟁 때도 고등학생들은 이 투쟁에 참가했다. 학생들은 학교 안에서도 두발자유화, 야간자율학습, 보충수업 폐지, 학생회 직선제를 요구하며 저항했다. 이런 투쟁은 이후 전교조 운동의 자극제가 되기도 했다.

1987년 민주화 항쟁으로 급진화한 청소년들의 일부는 사회를 체계적으로 변혁하기 위한 급진적 변혁 이론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그들 중 일부는 지금도 한국 사회 진보를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하는 활동가가 됐다.

21세기 들어서도 청소년들의 저항은 계속됐다. 2002년 효순이·미선이 압사에 항의하는 촛불시위의 배경에는 의정부 여중생들의 행동이 큰 구실을 했다. 2003년 이라크 전쟁에 항의하는 반전 운동에서도 청소년들은 중요한 일부였다.

지금 청소년들이 다시 한번 소외와 억압을 뚫고 저항에 나섰다. 이제 노동자들이 대대적인 행동으로 화답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