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자본주의와 교육:
왜 학교는 재미없고 가기 싫을까?

50점 맞은 시험지를 들고 풀이 죽어 있는 아이가 울먹이기 시작한다면 그것은 누구의 책임일까? 어린 시절 호기심 가득한 눈망울은 정답만을 강요하는 시험지 개수가 늘어날 때마다 차츰 빛을 잃어 간다.

누구나 졸음과 실패가 반복되는 학창시절을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월요일 출근길 지하철이 노동자들에게 지옥철이듯이, 학생들도 일요일 밤만 되면 불안감에 잠을 설친다. 노동자들이 일하지 않을 때야말로 자유롭다고 깨닫는 것처럼, 학생들도 교문을 나설 때 자유로움을 느낀다.

이것은 오늘날 교육이 자본주의 사회를 지탱하기 위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자본과 그것이 뿌리 내리고 있는 국가는 자본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생산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배자들은 양질의 노동력과 그에 대한 착취가 필요하다.

학교는 복잡하고 어려운 노동과정을 처리해 내는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그 사회의 생산력에 조응하는 노동력을 재생산하는데, 자본주의적 세계관이 교육 과정 전반을 지배한다.

매일 교실과 운동장에서는 경쟁이 인간의 본성이며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떠들어 댄다. 경쟁 논리는 인간 능력의 우열을 구분지어 계급 차별을 정당화한다. 뛰어난 한 명이 멍청한 수백 명을 먹여 살린다고도 한다. 내가 가진 재능이 무엇인지 알아차리기도 전부터 친구들을 밟고 올라서서 우위를 차지하는 데 길들여져야 한다.

‘무한경쟁’에서 모두가 승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은 없다. 승자는 한 줌이고, 다수가 패배자가 될 게 뻔하다. 여러 번 지다보면 자기 미래에 대한 기대가 잘려 나가면서 자신감이 추락한다. 혹시 누군가를 밟고 올라서도 위 아래로 더 강한 경쟁자들 사이에 서게 된다.

누구나 끝이 보이지 않는 이 터널에서 ‘삽질’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 것이다. 청소년들이 연예인과 게임에 열광하는 건 이처럼 학교라는 지루한 터널에는 없는 자극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에서 출발해 중·고등학교를 거쳐 상급 교육기관으로 진학할수록 학생들은 잘게 쪼개진다. 한국 대학의 서열화는 이를 명시적으로 보여 준다. 학생들은 진로 선택을 위한 시험에 길들여지는 동안 계급 분리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삽질

선택받은 소수만이 장래에 이 사회를 통제할 진정한 권한을 부여받는다. 나머지는 전문직·관리직 중간계급과 노동계급으로 갈라지고, 노동계급도 노동의 성격과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이 분리되고 서열이 매겨진다. 압도 다수는 자신의 노동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지 못하는 부속품 같은 인생을 선택당한다.

부유한 부모 아래서 물질적 풍요를 누리며 성장하는 소수의 학생들은 사교육비에 쩔쩔매는 노동계급의 자녀들에 비해 더 많은 기회를 갖는다. 고액과외, 해외유학, 회사 경영권 양도 등 이들에게는 모든 문이 활짝 열려 있다.

학교 교육은 결국 계급사회를 합법화하고 유지시키는 과정이 된다. 이 때문에 자본주의 교육의 보수성이 문제가 된다. 학교는 학생들을 순종적인 사회구성원으로 만들기 위해 규율과 권위에 복종하게끔 만들어야 한다. 체벌·두발규제 같은 인권침해가 좀처럼 없어지지 않는 이유다.

단순암기식·주입식 교육은 싼값에 지배자들의 세계관과 이윤창출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학생들의 호기심이 아니라 지배자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들을 단순히 외워야만 하는 학교가 재미있을리 없다.

“자율과 창의력”(제7차 교육과정) 도입도 생산력 증대에 도움이 되기 위한 보조수단에 불과하다. 당장 수익성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모든 노동계급에게 “창의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당한 수준에서 제한될 수밖에 없다. 가령 시·소설 같은 문학작품에 대한 감상을 표현하는 논술조차 암기 시험처럼 돼 각종 ‘정답형 참고서’가 우수수 쏟아져 나온다.

“자율”도 마찬가지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교장은 아침조회 끝나고 운동장 쓰레기 치울 때만 학생이 학교의 주인이라고 강조한다.

기존 사회 유지라는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학생들을 ‘붕어빵’ 찍듯 찍어 내야 할 의무가 학교에 있는 것이다.

요컨대 학교가 재미없는 까닭은 경쟁이 대부분의 학생들을 배제하고, 지배자들이 추앙하는 세계관이 창의력을 가로막고 규율과 복종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개성을 발현하고 자신감이 충만해야 할 젊은 시절을 불안과 열등감으로 지치게 만드는 학창 시절에 대한 가장 적절한 보상은 우리를 그렇게 성장시키고 있는 이 세계의 운영 방식에 브레이크를 거는 것이다. ‘삽질’만 하는 ‘붕어빵’이 되지 않으려면 친구들과 싸울 게 아니라 꿈을 빼앗아 가는 체제와 싸워야 한다.

경제 위기로 지배자들의 사회 운영 능력이 의심받는 요즘 같은 때에 ‘노력하는 자,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는 식의 가르침도 위기에 처해 있다. 학생들은 0교시·야자·방과후수업 등 많은 시간을 괴롭게 보내는데도 성적은 안 오르고 취업도 어려워지는 현실에 불만 섞인 의문을 품고 도전할 수 있다.

위기를 겪는 자본주의가 노동계급의 삶을 공격할 때 학교에 소속된 여러 집단 ─ 학생·학부모·교사·교직원 ─ 도 함께 공격받는다. 따라서 공격받는 우리 모두가 함께 대응해야 한다. 우리를 점점 죄어오는 경쟁 심화 교육에 맞선 투쟁 속에서, 우리는 경쟁이 아니라 연대라는 새로운 사회의 교육 방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