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문재인 정부와 한국 정치
  • 홍콩 항쟁과 지지 운동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한국 정치
  • 홍콩 항쟁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새 기사 | 구입처 안내

쌍용차 회생 방안 논쟁 : 구조조정과 정리해고가 불가피하다는 거짓말

정종남
레프트21 11호 | 2009-07-31
| 주제: 노동자 운동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쌍용차 노동자들이 초인적 투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유감스럽게도 일부 진보 매체에서 양비론과 함께 노동자 책임과 양보론이 제기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한겨레21〉 770호에 실린 ‘자동차 산업 재편 전체 틀에서 접근을’에서 “구조조정도 무작정 안 된다고 하기보다는 일부는 할 수 없이 나가야 한다”며, ‘쌍용차가 시장경쟁력도 없는 상황’에서 “투쟁 일변도의 노조는 다른 기업의 인수 가능성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주장했다.

‘창비주간논평’(7월 22일치)에서 조형제 울산대 교수도 “현재의 강경투쟁은 노조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킬 뿐 아니라 쌍용차 자체의 생명을 단축시”킨다며 노조가 “살신성인의 자세로 쌍용차와 중소기업을 포함한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했다.

‘시장 경쟁력’이 뒤처지는 쌍용차의 경영난 타개를 위해 노사가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는 두 교수의 주장은 결론으로 갈수록 노동자 양보를 강변하면서 정작 정부와 상하이차에게는 “살신성인의 자세”를 요구하지 않는다.

조형제 교수가 “한 명의 해고도 반대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강성노조의 파업이 상하이차의 철수를 부채질했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도 틀렸다. 기술집약적인 자동차 산업에서 상하이차가 지난 4년 동안 단 한 푼의 신규 투자도 하지 않은 것과 미국발 세계경제 위기가 지금의 위기를 낳은 것이다. 게다가 이미 쌍용차 노동자들 1천7백여 명이 ‘희망퇴직’ 등을 당한 상황에서 총고용 보장이 ‘과하다’는 주장은 황당하다.

이들이 제시하는 쌍용차, 르노삼성, GM대우 등의 합병을 통한 자동차 산업 재편도 노동자들의 대량감원을 불러올 것이 뻔하다. 더구나 경쟁이 낳은 과잉생산 속에 파산과 합병을 거듭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의 근본적 불안정을 볼 때 이것은 결코 대안이 될 수 없다. 이처럼 기업 경쟁력 논리를 받아들이면서는 노동자·서민을 위한 진정한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

기업의 파산으로 실직 위험이 생겼다면 정부가 공기업화(국유화)해서 직접 운영하며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보장해야 한다. 나아가 세계적 자동차 과잉생산 속에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친환경 대중교통 생산 등에 공장과 인력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량해고에 맞선 쌍용차 노동자들의 투쟁이 승리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아낌없는 지지와 연대를 보내는 것이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기본입장)
정기구독 후원 1천 원부터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거리와 대학과 서점에서 〈노동자 연대〉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쌍용차 투쟁 승리의 열쇠 : 연대 투쟁과 연대 파업을 확대해야 한다

2009-07-31
모승훈
70일 넘게 계속되고 있는 쌍용차 노동자들의 영웅적인 점거 파업은 이 나…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이 싸움 꼭 이겨야 합니다”

2009-07-31
공장 앞에 가족대책위 천막이 있습니다. 아침에 공장을 바라보고 앉아서 하…

한국 쌍용차 노동자들과 영국 베스타스 노동자들의 국제적 연대

2009-07-31
베스타스 노동자들을 대표해 연대의 인사를 보냅니다. 우리는 우리의 일자리…

“반드시 이겨서 당당히 걸어 나가겠습니다” : “연대 투쟁과 파업을 반드시 확대해 주십시오”

2009-07-31
지금 공장 안은 전쟁터입니다. 8일째 공중에서 최루액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노동자 연대
  • 소개
  • 기본입장
  • 로고
  • 윤리 강령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기사
  • 전체 기사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온라인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장르
  • 성명
  • 논쟁
  • 논평
  • 칼럼
  • 독자편지
  • 인용
  • 서평
  • 리뷰
  • 사진
  • 만평
  • 강연
  • 평가
  • 분석
  • 인터뷰
  • 기념
  • 전기
  • Q&A
  • 부고
  • 책 광고
  • 일정
  • 카드뉴스
  • 집회 소식
  • 코너
  • 이렇게 생각한다
  • 누구의 말일까요?
  • 99퍼센트의 눈
  • 소식/보고
  • 꼴라주
  • 인터랙티브 뉴스
  • “박근혜는 퇴진하라!”, 133일의 기억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