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마르크스는 어떻게 마르크스주의자가 됐는가?

마르크스는 1818년에 독일의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이 진행중이었다. 증기 기관, 새 기계, 새로운 계급들, 새로운 투쟁들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사건들은 마르크스가 어린 시절을 보낸 트리어에서는 잔잔한 파장조차 일으키지 못했다. 트리어는 중세적 고요의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독일 전체가 그랬다. 독일은 정치·경제의 후진성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독일의 조건은 마르크스가 더 발전된 관점에 이르는 과정에서 밟은 독특한 진로에 영향을 미쳤다. 왜냐하면 마르크스는 심오한 철학 연구, 특히 헤겔 철학 연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자가 됐기 때문이다. 마르크스가 청년이었을 때 독일에서는 철학이 성행했다. 프로이센 국가는 철학 연구를 후원하고 장려했다.

마르크스는 본에서 방탕과 게으름의 한 해를 보낸 뒤인 1836년에 프로이센의 수도이자 헤겔주의의 중심지인 베를린으로 갔다. 그리고 헤겔주의를 깊이 탐구한 뒤 청년 헤겔주의 비평가가 됐다. 당시 상황에서 독일 철학 전통에 몰입하지 않고서는, 그리고 독일 철학 전통을 뛰어넘지 않고서는 전진할 수 없었다.

청년 헤겔주의의 관심사는 오직 관념에 대한 비평이었다. 마르크스는 여러 해 동안 그들의 일부였고, 이 시기에 그의 정치적 관심은 추상적 ‘민주주의'로 향했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청년 헤겔주의의 진부함을 넘어 유물론적 견해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유물론은 물질 세계와 우주는 인간 의식 외부에 있고 인간 의식에 앞서며 관념은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상이다.

헤겔의 절대자(그리고 기독교/유대교/이슬람의 신)는 인간 사회의 산물이지 원동력이 아니다. 신은 관념(정신, 영혼)이고 관념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신이 인간을 만들지는 않았다.

1845년에 마르크스는 관념론과 결정적으로 단절하기 시작했다. “역사 그 자체는 아무것도 아니다. 역사는 막대한 재화를 소유하고 있지 않다. 역사는 전투를 벌이지 않는다. 역사는 인간이며 그것도 현실에서 살아 숨쉬는 인간이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역동적 관념론을 통해 헤겔의 인식 방법과 싸워 마침내 유물론에 이르렀다. 역사적으로 보자면, 마르크스는 뒤늦게 유물론에 도달했다. 마르크스 자신이 밝혔듯이, 18세기의 프랑스·스코틀랜드·영국 사상가들은 이미 유물론적인(즉 과학적인) 견해에 도달했다. 그러나 그들의 유물론은 두 가지 약점이 있었다. 기계적 또는 일면적인 결정론이거나 원자론(마르크스가 ‘로빈슨주의'라고 부른)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었다. 헤겔에 몰두했던 마르크스는 이런 오류에 빠지지 않았다.

따라서 마르크스주의 자체가 불균등·결합 발전의 산물이었다. 마르크스가 일찍이 간파했듯이, 헤겔 철학은 독일의 후진성이 낳은 산물이자 마르크스가 받아들인 ‘합리적 핵심'을 담고 있었다.

물구나무

선진국인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각각 정치경제학과 사회주의가 발전했다. 소수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확립한 사상이지만 이 나라들의 조건 덕분에 이 사상들은 대중적으로 확산됐다.

레닌이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원천과 세 가지 구성 요소‘라고 불렀던 독일의 철학, 영국의 정치경제학, 프랑스의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에 의해 국민적 특수성을 넘어 종합됐다.

종합은 방법이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방법이 ‘물구나무 서 있다'고 말했다. 마르크스는 〈포이어바하에 관한 테제〉(1845년)에서 자기 방법의 핵심을 이렇게 지적한다.

“인간의 사유가 객관적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결코 이론의 문제가 아니라 실천의 문제다. 인간은 실천을 통해 진리를 증명해야 한다.”

1846년에 마르크스와 그의 새로운 협력자인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독일 이데올로기》를 완성했다. 이 저작은 두 사람이 마르크스주의와 진정한 사회주의 실천으로 옮아갔음을 뜻했다.

“살기 위해서는 다른 무엇보다 먹을 것, 마실 것, 살 곳, 입을 것 등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초의 역사 행위는 물질적 삶 자체의 생산이다. 이것이 실로 역사 행위이며 모든 역사의 근본적인 조건이다.”

사회는 생산을 둘러싸고 형성되고 건설된다. 이런 생산 과정은 특정 발전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 도구, 장비에 의지한다. 그리고 사회 계급들, 즉 착취자와 피착취자가 생겨나게 한다. 이것은 계급투쟁을 낳는다.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1848년에 쓴 《공산당 선언》은 다음과 같은 불후의 명문장으로 시작한다.

“지금까지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다. … 억압자와 피억압자는 항상 대립하면서 때로는 은밀하게 때로는 공공연하게 끊임없는 투쟁을 벌여 왔다. 이 투쟁은 매번 사회 전체의 혁명적 개조로 끝났거나, 아니면 투쟁하는 계급들이 공멸하는 것으로 끝났다.”

오늘날 자본주의는 (비교적) 풍요에 바탕을 둔 무계급 사회를 건설할 물질적 기반을 창출했다. 이 사회의 인간적 토대는 프롤레타리아다. 따라서 진보는 노동 계급의 자기 해방을 위한 투쟁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