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2차 희망의 버스:
1만여 명이 모여 연대 투쟁의 가능성을 보여 주다

박연오
레프트21 60호 | 2011-07-11 |
주제: 노동자 운동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9일 밤 ‘희망의 버스’ 참가자들이 부산역에서 열린 결의대회를 마치고 김진숙 지도위원이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로 행진을 하던 도중 경찰차량에 막혀 있다.
7월 1일 평택에서 출발해 천 리 길을 걸어 부산에 도착한 쌍용차 노동자들이 9일 밤 한진중공업영도조선소로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2차 ‘희망의 버스’는 연대와 단결을 염원하는 기층의 갈증이 얼마나 광범한지를 보여 줬다.

억수같이 퍼붓던 장대비 속에서도 1만여 명이 부산에 모였다. 노동조합, 학생회와 학생단체, 진보정당, 사회단체, 시민단체 등 수많은 깃발이 나부꼈다. 개인 참가자들도 많았다.

고용노동부 장관 이채필은 ‘희망의 버스’를 “외부 세력”이라고 비난했지만, 연대를 위해 달려온 이들에겐 노동자들과 김진숙 지도위원이 바로 그들 자신이었고, 동료였고, 가족이었다. “당신들이 우리다, 한진중공업이 우리다!”

7월 1일 평택에서 출발해 천 리 길을 걸어 부산에 도착한 쌍용차 노동자들, 폭우를 뚫고 울산에서 자전거 행진을 벌인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들, 반값 등록금 실현을 요구한 대학생들, 휠체어를 타고 함께한 장애인들…. 이들이 바로 ‘희망의 버스’의 주인공이고,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의 손을 잡은 ‘소금꽃’들이다.

‘희망의 버스’는 김진숙 지도위원과 노동자들을 “살리자”는 절박한 요구를 대변했고, 이명박 정부의 경제 위기 고통전가와 반노동·반민주 정책에 대한 울분을 대변했다.

참가자들은 부산 시내를 가로질러 영도 조선소를 향해 가두행진을 벌였다. 행렬은 폭우를 뚫고 커다란 구호와 함성을 쏟아냈다. 이를 지켜본 시민들은 귀갓길 교통체증 속에서도 박수를 보내 줬다.

“정리해고 철회하라!” “심야노동 철폐하라!” 유성기업 노동자들과 ‘다함께’ 회원들은 나란히 행진하며 함께 구호를 외치고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심야노동 철폐하라" " 9일 밤 유성기업 노동자들이 부산역에서 열린 결의대회를 마치고 김진숙 지도위원이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로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연대의 힘으로 85호 크레인을 지켜내자 폭우 속에서도 희망의 버스 참가자들의 행진은 활력이 넘쳤다.

대열은 연대의 정신으로 활력이 넘쳤다. 대열은 영도대교를 넘어서까지 진출했다. 노동자 투쟁 연대를 위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영도로 모인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세계적 석학 노엄 촘스키도 이런 연대에 놀라 “노동자들을 위한 희망버스의 자발적 연대는 경이로운 이야기”라고 했다.

이명박 정부는 이런 시위대에 겁을 먹었다.

정부는 시위대가 공장 앞까지 진출해 해고 노동자들과 만나고 크레인 앞까지 진출해 김진숙 지도위원과 크레인에 몸을 묶고 있는 투사들과 만나, 서로의 자신감을 높이고 투지를 자극하길 원치 않았다. 그래서 영도 조선소를 약 1킬로미터 앞둔 지점에서 차벽을 쌓고 경찰 93개 중대를 동원해 끔찍한 폭력을 휘둘렀다.

9일 밤 경찰이 부산역을 출발 한진중공업을 향해 거리행진을 하는 ‘희망의 버스’ 참가자들을 향해 최루액이 섞인 파란색소 물대포를 뿌리고 있다
9일 밤 경찰이 ‘희망의 버스’ 참가자들에게 최루액을 뿌리고 있다.
경찰의 폭력적 진압으로 부상을 입은 한 참가자가 괴로워하고 있다.

경찰은 최루액과 물대포, 색소 등을 난사했다. 최루액을 정면으로 맞은 사람들은 연신 구토를 했고 피부도 빨갛게 달아올랐다.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은 “약 1백여 명의 부상자를 치료했[는데,] 상당수가 수포가 생기는 화학적 화상을 입었다”고 폭로했다.

“경찰은 이전에 사용하던 최루액 대신 PAVA라는 새로운 물질을 사용해 안전하다고 하지만 이 물질을 제조한 스위스 IDC system AG 사조차 물질안전정보자료(MSDS)에서 피부, 눈 등에 닿거나 호흡시 매우 해롭다고 밝히고 있다. 북아일랜드 경찰청조차 군중 해산용으로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경찰은 이런 위험 물질을 어린이·노인·여성 들이 있는 대열에 무차별 난사한 것이다.

경찰은 또 참가자 50여 명을 폭력적으로 연행했다. 연행당한 사람들 중에는 한진중공업 노동자의 부인과 자녀도 있었고, 심상정 진보신당 전 대표와 이광석 전농 의장도 있었다. 경찰은 시위대의 항의에 밀려 이 중 42명을 석방하기는 했지만, 여덟 명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와 사법처리를 협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탄압은 오히려 이명박 정부의 위기를 가속화할 것이다. 정부는 이미 경찰력과 폭력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버틸 수 없는 레임덕 신세다.

그런 점에서, “이명박 정부를 심판하겠다”, “한진중공업 투쟁 승리를 위해 함께 싸우겠다”던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지도부가 투쟁 건설에 소극적인 것은 매우 아쉽다. 금속노조가 버스 20대도 조직하지 못했다니 더 그렇다.

2차 ‘희망의버스’를 제안한 송경동 시인은 ‘희망의 버스’ 기획단을 대표해 “한 달 안에 더 큰 3차 ‘희망의 버스’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참가자들은 박수로 화답했다.

“이 땅에 더는 정의가 없을 줄 알았습니다. 이 땅에 더는 연대가 없을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먼 길 달려와 비와 최루액과 물대포를 맞아준 여러분이 있었습니다. … 2011년 7월 9일. 역사는 이날을 반드시 기억할 것입니다.”(김진숙 지도위원)

‘희망의 버스’가 만든 연대 투쟁이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리고 있다. 이런 가능성은 앞으로 더 확대돼야 한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송경동 시인 인터뷰:
“연대가 희망입니다”

2011-06-30
조명지  인터뷰·정리

한진중공업:
지도부는 배신했지만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2011-06-28
박연오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철회하라

2011-06-30
​박설

오스트레일리아 사회주의자동맹의 파업 지지 성명: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한다

2011-07-03
지난 12월 20일, 부산의 한진중공업 노동자들이 1백72명에 대한 정리…

‘희망의 버스’는 멈추지 않는다

2011-06-29
소은화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