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영화평 〈82년생 김지영〉:
변했지만 변하지 않은 여성 차별을 담담하게 그리다

영화 〈82년생 김지영〉(감독 김도영)이 개봉한 지 일주일 만에 관객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영화의 원작은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이다. 2016년 출간된 이 소설은 당시 페미니즘 열풍 속에서 20~30대 여성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베스트셀러 자리에 올랐다.

이 영화를 둘러싸고 일각에선 또다시 남 대 여 논쟁이 붙었다. 온라인 상에서 일부 남성들은 영화에 낮은 별점을 주고 여성 피해만 강조했다며 비난한다. 최근 한 여성 아나운서도 “부정적인 것들에만 주목[해] ... 불편”했다고 평했다.

하지만 영화는 성 대결을 결코 강조하지 않는다. 흥행 성적이 보여 주듯, 많은 평범한 여성과 남성들이 영화 내용에 공명하고 있다. 아무나 댓글을 남길 수 있는 ‘네티즌 평점’에서는 이 영화에 대한 남녀 평점이 극단적으로 갈리지만, 영화를 실제로 본 관람객만 쓸 수 있는 ‘관람객 평점’에서는 남녀 모두 9점대로 비슷하다.

영화는 소설을 기반으로 했지만 소설보다는 현실의 여성 차별을 좀 더 일면적이지 않고 설득적으로 묘사했다. 현실의 평범한 여성과 남성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답을 찾아가는 모습이 소설에 비해 대폭 보강됐다.

영화는 현실에 있을 법한 한 여성의 삶을 그린다.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 출산 후 달라진 삶을 마주하게 된 여성 노동자들의 처지를 잘 묘사했다

1982년에 태어난 김지영 씨(정유미 분)는 남편, 어린 딸과 작은 아파트에 살고 있다. 남편 정대현 씨(공유 분)는 직장을 다니고, 김지영 씨는 홍보업체에서 일하다 출산을 하면서 퇴사했다.

김지영 씨는 남편이 출근하고 난 뒤 하루종일 울고 보채는 아이와 씨름하고 밀린 집안일을 한다. 손목이 시큰거려서 찾은 병원에서 의사는 “밥은 밥통이 하고, 빨래는 세탁기가 하는데 요즘 여자들은 뭐가 힘들다는 건지” 하고 퉁명스레 말한다.

유모차를 끌고 공원으로 나와 커피 한 잔을 마시며 바람을 쐬던 김지영 씨는 지나가던 직장인들이 자신을 보고 “남편 돈으로 커피 마시며 놀아서 좋겠다”고 수근대는 말을 듣는다.

언젠가부터 김지영 씨는 석양을 보면 마음이 쿵 하고 무너지는 것 같고, 있었던 일들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그러던 중에 김지영 씨는 가끔 엄마, 동아리 여자 선배, 할머니로 ‘빙의’한 듯 행동하기 시작한다. 영화는 남편 정대현 씨가 아내가 걱정돼 정신과 의사와 상담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영화는 할머니, 엄마 등 윗세대 여성의 삶을 함께 그리면서 김지영 씨가 ‘아프게’ 된 배경을 조명한다.

영화는 출산과 육아 이후 완전히 달라진 삶을 마주하게 된 여성이 겪는 좌절감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이 사회의 김지영 씨‘들’은 자신의 직장 상사처럼 당당한 커리어우먼을 꿈꿨지만, 결국에는 아이 때문에 퇴사해야 하고 갑갑한 집안에 발목 잡히고 육아의 굴레에 시달려야 한다.

할머니나 엄마와는 달리 김지영 씨는 고등교육을 받고, 직장에서도 남성 동기들과 나란히 경쟁한다. 하지만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은 김지영 씨에게 다시 윗세대 여성들이 겪은 굴레를 씌운다.

김지영 씨도 복직하고 싶지만 아이 때문에 결코 쉽지 않다. 아이를 늦게까지 봐줄 수 있는 곳도 없고, 베이비시터를 구하기도 힘들다. 남편들이 육아휴직을 쓰고 아내를 돕고 싶어도 승진 경쟁과 퇴사 압박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 현실도 이 영화는 보여 준다.

아등바등해 보지만 김지영 씨와 남편의 개인적인 노력들은 매번 막다른 길에 부딪힌다.

이 영화는 사랑만으로 모든 게 가능할 것 같던 결혼 생활이 출산과 양육을 거치며 얼마나 뒤틀리고 고통스럽게 변하는지 보여 준다.

이 영화는 ‘여성은 모두 피해자고 남성은 모두 가해자’라는 식으로 그리지 않는다. 일부 남성들은 ‘몰카’를 찍고(불법촬영), 단톡방에서 성희롱을 한다. 하지만 또 다른 남성들은 이를 비판한다. 그리고 현재의 삶에 순응하라며 김지영 씨를 끌어내리는 사람들 중에는 시어머니나 고모 같은 윗세대 여성들도 있다는 점을 이 영화는 잘 그려낸다.

김지영 씨가 ‘빙의’를 할 때마다 남편은 자신과 결혼해서 아내가 불행해진 것 같아 자책한다. 이런 고통은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이 모두 개인에게 떠넘겨져 있는 사회에서 개인들이 겪는 관계의 왜곡을 보여 준다.

영화의 마지막도 좀 더 희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과 완전히 다르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오늘날 여성들의 삶을 담담하게 그려내어, 여성 차별을 낳는 사회와 그것이 개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보게끔 만든다.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