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진보정당과 참여당의 통합은 “진보” 통합이 아니다:
‘3자(민주노동당·참여당·통합연대) 통합’ 추진을 중단하라

이 글은 다함께가 11월 12일에 발행한 리플릿입니다.

민주노동당 지도부가 국민참여당(참여당), 새진보통합연대(통합연대)와 ‘3자 통합’을 하겠다고 한다. 일부 언론들이 이를 ‘진보 3자 통합’이라고 부르는데 부적절하다. 참여당은 진보정당이 아니기 때문이다.

애초 진보대통합의 취지는 이명박 정부 하에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불평등이 심화하는 상황에 맞서 진보 정치 세력이 단결하자는 것이었다. 진보 통합은 그래서 노동계급(그리고 피억압 민중) 내의 단결과 연대를 뜻했다. 그래서 친자본주의적 자유주의 정당인 참여당은 애초 통합의 대상이 아니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명박 정부에 맞서 광범한 단결을 원한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야권 단일 후보인 박원순 후보를 지지한 것이 한 사례다. 또, 한미FTA 저지 운동에 민주당과 참여당도 참여한다. 애초 한미FTA를 추진했던 당사자들이 이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진보진영이 2006년부터 벌여 온 한미FTA 반대 운동이 옳았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세력은 늘 운동의 막차를 타고 왔다 첫차를 타고 떠나는데다, 동요를 거듭하기 때문에 이 세력들에 절대 정치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된다. 요컨대, 자유주의 정당과 불가피한 경우 사안에 따라 손을 잡을 수는 있지만 아예 당을 통합해서는 안 된다.

당대회 결정을 정면으로 부정하는가

이미 민주노동당 지도자들이 추진한 참여당과의 통합은 당 안팎에서 광범한 반대에 부딪혀 왔다. 수천 명의 현장 노동자들과 노조 지도자들이 참여당과의 통합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했다.

그 결과 민주노동당 지도부는 8월과 9월에 연이어 당대회를 소집해 참여당과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두 번 다 실패했다. 특히, 9월 25일 민주노동당 당대회는 분명하게 참여당과의 통합 안건을 부결시켰다. 장원섭 민주노동당 사무총장도 “당대회 결정은 정확히 [참여당과의 통합이] 부결이 된 것이다. 이것은 조직적 결정”(10월 25일 민주노동당 대전시당 간담회에서)이라고 인정했다.

따라서 민주노동당 지도부가 최근에 또다시 ‘3자 통합’을 몰래 추진한 것은 당대회 결정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소수 지도자들이 당대회 결정을 간단히 무시하며 당 위에 군림하려는 것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노동운동 내 민주주의를 크게 손상시킬 수 있다.

이번 3자 비밀 회동은 지도부 자신이 한 말을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는 것이기도 하다.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는 당대회 직후인 9월 28일에 “당대회 부결의 의미를 깊이 새겨 대의원 여러분의 뜻에 따라 성실히 일하겠습니다” 하고 말했다. 그래 놓고는 참여당 등과 비밀리에 전격 회동해 ‘3자 통합’을 합의한 것이다.

10.26 재보선 결과와도 어긋난다

‘3자 통합’ 추진 시도는 10·26 재보선 결과가 보여 주는 것과도 어긋난다. 재보선 결과는 대중의 반한나라당 정서가 아주 강하다는 것을 보여 줬다. 반면, 민주당도 사실상 패배했다. 참여당의 정치적 존재감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다. 이것은 대중이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계승 세력을 미덥게 보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런 정서 덕분에 박원순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했다. 한때 잠시나마 민주당을 통해 반MB 정서를 표현했던(그때조차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그렇게 했다) 대중이 이제는 그 당보다 좀더 왼쪽에 있는 시민운동 쪽으로 기대를 옮기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 눈여겨 볼 특징은 민주노동당의 만만찮은 득표력이다. 민주노동당은 전국 평균 25퍼센트가량 득표했다. 이런 정서와 접속하려면 민주노동당은 한미FTA 저지 운동, ‘99% 운동’ 등에서 시민단체들과의 연대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지도자들은 엉뚱하게도 참여당과 통합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이것은 변화된 상황에 걸맞는 대응책이라 볼 수 없다. 통합연대가 참여당과의 통합을 찬성했다는 것도 ‘3자 통합’을 정당화해 주지 못한다.

통합연대의 핵심 인사들(노회찬, 심상정, 조승수)은 말 바꾸기를 거듭하며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한때 이들은 참여당과의 통합 반대를 민주노동당과의 통합 조건으로 내세웠다. 그러다 별안간 참여당과의 통합 찬성으로 돌아섰다. 이런 일관성 없는 태도 때문에 이들의 지지자들조차 통합연대와 거리를 두고 있다.

게다가 유시민 대표는 민주노동당과 통합 후 야권단일정당에 합류하겠다고 하고 있어, ‘3자 통합’은 또 다른 분란과 분열을 낳을 위험성이 다분하다.

다시 참여당과의 통합 반대 운동에 나서자

소수 지도자들의 의지가 언제나 가뿐하게 관철되는 것은 아니다. 민주노동당 지도자들의 참여당과의 통합 시도는 이미 두 차례나 좌절된 바 있다. 소수 지도자들의 의지만 보고 ‘이제는 어쩔 수 없다’고 체념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민주노동당 지도자들이 원하는 것일 게다.

따라서 자본가 정치로부터 독립적인 진보정당의 존재와 성장을 바라는 사람들은 민주노동당과 참여당의 통합을 반대해야 한다.

이 문제는 결코 민주노동당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통합연대만의 문제도 아니다. 전체 노동자 운동과 진보진영의 문제다. 주요 진보정당이 참여당과 통합하면서 급진성과 투쟁성을 약화시킨다면, 그것은 노동자 단결과 투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그래서 현장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지도자들이 참여당과의 통합 반대 입장을 견지할 것을 요구하고 호소해야 한다. 다행히 민주노총의 중앙집행위원회는 여전히 ‘참여당은 선 진보 통합의 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끝으로, 민주노동당 지도자들은 9월 25일 당대회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 그 결정을 번복하려고 당대회를 재소집하는 것은 노동자 운동의 민주주의 전통을 부정하는 처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