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노동자연대 온라인 토론회
  • 이론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차별
  • 국제
  • 코로나19
  • 경제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요구를 확대해서:
박근혜의 ‘재벌천국 서민지옥’ 질주에도 맞서자

김지윤
레프트21 108호 | 2013-07-13 |
주제: 주류정치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촛불이 커지고 시국선언이 번지는 것은 ‘국가일베충’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거세지고 있는 국정원에 대한 분노 때문만은 아니다. 취임 이래 켜켜이 쌓여 온 박근혜 정부를 향한 불만과 분노가 함께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마치 2008년 광우병 쇠고기 수입이 방아쇠 구실을 하며 이명박 정부 전반에 대한 분노가 촛불로 타올랐듯 말이다.

박근혜는 취임하자마자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라는 선거용 가면을 벗어 던지기 시작했다. “박근혜가 바꾸네”가 아니라 “박근혜가 말 바꾸네”였던 것이다.

모든 노인에게 기초연금 20만 원 지급, 4대 중증질환 전액 국가 보장 같은 대표적 복지 공약들이 뒤집어졌다. 복지 예산은 줄어들고 국방비는 늘었다.

박근혜는 홍준표가 밀어붙인 진주의료원 폐업을 방조하고, 지금은 철도 분할 민영화를 향해 돌진하고 있다. 가스 민영화도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 공공기관 부채 해결을 내세운 공공요금 인상도 만지작거리고 있다.

최저임금은 고작 3백50원 올랐다. ‘월급으로 밥은 먹고살게 해 달라’는 저임금 노동자들의 바람을 짓밟은 것이다. 또 ‘시간제 일자리를 늘려 고용률 70퍼센트를 달성하겠다’며 비정규직 확대 뜻을 분명히 했다. 박근혜는 재벌들이 법원 판결도 무시하며 노동자들의 통상임금을 떼먹는 것도 돕고 있다.

심지어 국민연금을 13~14퍼센트가량 인상하는 개악도 추진하려 한다. 가뜩이나 ‘용돈 연금’ 수준인데 또 ‘더 내고 덜 받으라’는 것이다.

반면 박근혜는 재벌들의 이익은 털끝 하나 건들지 않으려 한다. 전경련이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과 엑소더스[대탈출]” 운운하며 노골적 협박을 일삼자 박근혜는 ‘경제민주화가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방망이가 돼선 안 된다’며 맞장구를 쳤다.

부족한 세수를 마련하겠다며 신용카드 세액공제 폐지도 추진하고 있다. 조세도피처에 묻힌 부자들의 세금은 그냥 둔 채 노동자들의 유리지갑을 털겠다는 것이다. 사실상 ‘서민 증세’다.

박근혜는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의 분향소를 짓밟고 전국의 노동자 농성장들을 연달아 폭력 철거했다. 전교조와 전국공무원노조도 계속 탄압하고 있다. 현대차, 재능교육 노동자들의 고공 농성과 처절한 외침에도 눈과 귀를 막고 있다.

서민 증세

박근혜의 이런 패악질은 경제 위기와 관련이 깊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8분기 연속 바닥을 기고 있다. 1천조 원이 넘는 가계부채 문제도 심각하다.

게다가 낮아지는 성장률 때문에 4월까지 세수도 지난해보다 9조 3천억 원 감소해 정부의 재정 상황은 더욱 악화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버냉키 쇼크’에 중국의 경기 침체까지 겹치며 한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은 커져 가고 있다.

박근혜는 이명박과 마찬가지로 ‘재벌천국 서민지옥’ 정책으로 이런 상황을 벗어나려 한다.

그러나 한편에서 노동자들의 반발과 저항도 자라나고 있다. 최근 건설 노동자들은 박근혜가 정치 위기에 처한 틈을 이용해 전면파업 하루 만에 의미있는 승리를 거뒀다. 철도 노동자들도 철도 민영화에 맞선 파업을 압도적 찬성으로 결의했다.

현대차, 케이블방송, 삼성전자서비스, 인천공항 등의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투쟁의 시동을 걸고 있다. 한국GM 노동자들도 ‘먹튀’ 위험에 맞서 부분 파업을 벌이며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촛불은 민주주의 유린뿐 아니라 경제 위기 고통 전가의 몸통인 박근혜를 정면 겨냥해야 한다. 총체적 정치 공작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뿐 아니라 민영화 반대, 복지 확대, 비정규직 정규직화 등 고통 전가에 맞선 노동자들의 요구와 투쟁을 결합시켜야 한다.

이렇게 요구를 확대할 때 진정으로 박근혜를 위협하는 더 크고 강력한 운동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결코 민주주의 유린의 문제를 흐리는 것이 아니다. 민주주의 유린이 무엇을 목적으로, 누구에게 피해를 준 것인지 더 분명히 하는 것이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시국선언에서 “민주주의 없이는 노동기본권도 생존권도 없다” 하며 이것을 잘 지적했다.

이렇게 될 가능성은 이미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7월 6일 촛불 집회에는 진주의료원, 쌍용차, 철도 노동자들이 연단에 올라 큰 환호를 받았다. 공공의료 파괴, 민영화, 노동 탄압 등 박근혜에 대한 대중적 반감과 분노를 보여 준 것이다.

2008년 광우병 쇠고기에 대한 불만에서 터져 나온 촛불 운동도 입시 교육, 민영화, 언론 장악에 대한 반대로 의제를 확장하며 더 크고 강력한 운동으로 발전한 바 있다.

이 가능성을 놓치지 말고 현실화되도록 해야 한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민주주의와 민중의 삶을 지키기 위해:
촛불은 더 크게 타올라야 한다

2013-08-03
박근혜 정권과 우파가 부쩍 당황하기 시작했다. 박근혜는 원래 4박 5일의…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