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전체 기사 (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 홈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이론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경제
  • 국제
  • 동아시아
  • 차별
  • 코로나19
  • 노동조합
  • 온라인 토론회
  • 이론
    • 바로가기
    • 성명
    • 활동사진
    • 맑시즘 포럼
  • 노동자연대TV
    • 영국 소셜리스트 워커
    • 영국 소셜리스트 리뷰
    • 영국 인터내셔널 소셜리즘
  • 추천 책
  • 정기구독
  • 후원
    • 전체 기사 (최신순)
    • 지면 PDF
    • 지난 호
    • 구입처

스탈린의 소련 사회 변혁은 반혁명이었다

336호 | 기사입력 2020-09-16 21:14 |
주제: 역사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1912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볼셰비키 동지였던 레프 카메네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썼다. “자네에게 에스키모 식으로 코를 맞대는, [따뜻한] 인사를 보내네. 자네가 너무 그립네. 미치도록 그립다고. 정말이야. 내 곁에는, 제대로 된 얘기를 나눌 만한 사람이라고는 아무도 없다네. 빌어먹을.”

그러나 그로부터 24년 후, 스탈린은 재판을 조작해 카메네프를 “파시스트 첩자”로 몰아 “개처럼” 쏴 죽였다.

스탈린은 한때 혁명가였으나 (왼쪽, 비밀경찰이 찍은 젊은 시절) 이후 수많은 혁명가들을 살육하는 독재자가 된다(오른쪽)

1912년의 스탈린은 대담한 혁명가이자 붙임성 있는 동지로 정평이 나 있었다. 1930년대의 스탈린은 수십만 명을 학살하고 세계 곳곳에서 혁명의 불씨를 짓밟는 데 일조한 독재자였다.

스탈린의 범죄 행위들은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이상을 폄훼하는 근거로 흔히 제시된다. 그러나 스탈린 체제는 혁명이 패배해서 생겨난 것이었다.

이오시프 주가쉬빌리(스탈린의 본명)는 1878년에 구두 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스탈린은 가난에서 벗어나려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 교육을 받았지만, 무신론과 마르크스주의를 접하게 됐다.

스탈린은 불법 혁명 조직에서 활동하면서 투옥되고 국내 유형지로 추방되기를 거듭했다.

그는 혁명을 위해 은행을 털기도 했다. 1907년 6월 티플리스[조지아의 수도 트빌리시의 옛 이름]에서 스탈린은 국영은행으로 수송 중이던 거액의 현금을 탈취하는 데 성공했다.

1917년 초 러시아 혁명 시작 당시 스탈린은 믿음직한 볼셰비키 상근자였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의 일원이자 볼셰비키 중앙위원이었던 스탈린은, 당 내에서 가장 유력한 입장이라면 무엇이든 따르곤 했다.

혁명가들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서 스탈린은 널리 알려진 인물은 아니었다. [혁명이 한창이었던] 1917년 3월에서 10월 사이에 스탈린이 대중 연설을 한 것은 세 번밖에 안 됐다.

러시아 혁명의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은, 병으로 죽어가던 1922년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에게 이렇게 경고했다. “서기장이 된 스탈린 동지 수중에 무제한의 권한이 집중돼 있다. 그러나 그가 이 권한을 언제나 매우 신중하게 사용할 능력이 있는 사람인지 나는 믿을 수가 없다.”

고집    

레닌이 죽고 나자 스탈린은 레닌의 후광을 업으려 했다. 그래서 레닌의 시신을 미라로 만들 것을 고집했고, 레닌 신격화에 앞장섰다.

당시 러시아 혁명은 고립됐다. 혁명을 일으켰던 노동계급은 전쟁과 기근 때문에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 [혁명 전에는] 3백만 명이었던 성인 노동자 중 1921년까지 남아 있는 사람은 1백20만 명에 불과했고 그 마저도 상당수는 식량을 찾아 도시를 떠나야 했던 것이다.

레온 트로츠키는 여러 볼셰비키 분파들이 혁명에 가해지는 각기 다른 압력을 대변했다고 설명했다. 일부는 노동자들의 이익을 옹호했고, 또 일부는 사적 자본주의로의 회귀를 주장했다.

스탈린은 성장하던 관료 집단을 대표했다.

트로츠키의 분석은 탁월했지만, 관료 집단이 새로운 지배계급을 형성할 만큼 강력하지는 않다고 봤던 것은 오류였다. 

혁명은 확산되지 못했고 그 결과 쇠락했다. 그러면서 반혁명이 득세했고 스탈린은 그 화신이었다.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세계 혁명이 무기한 연기됐다며 이제 러시아의 과업은 산업화라고 주장했다.

1931년 스탈린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선진국보다 50년에서 1백 년 뒤처져 있다. 우리는 10년 안에 그들을 따라잡아야 한다.”

영국 같은 나라들에서 산업화는 백 년이 넘는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 와중에 수백만 노동자의 삶을 파탄냈다. 잔혹하게도 스탈린은 이 과정을 소련에서 단 20년 만에 밀어붙였다.

혁명의 성과들이 하나씩, 하나씩 제거됐다.

스탈린은 1917년에 민중이 쟁취한 이상을 파괴했고, 1917년의 투사 다수를 물리적으로 숙청했다. 그들이 혁명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러시아는 어떤 점에서도 사회주의 사회라 볼 수 없었다. 독재자가 지배하는 국가자본주의 사회가 됐다.


이 글은 노동자연대가 발행한 《노동자들을 위한 1917 러시아혁명사》의 한 장을 발췌한 것이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정기구독 일시 후원 1000원부터 정기 후원
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농협 301-0010-1643-71,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 모든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노동전선 천연옥 씨에게 답한다:
옛 소련 블록의 사회에서 성평등은 실현되지 않았다

2020-09-16
정진희

[기획 연재]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⑤:
옛 소련은 사회주의 사회였는가?

2020-05-21
김영익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맨 위로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 노동자 연대
  • 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정기구독 이용약관 ·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동의
  • 〈노동자 연대〉 언론 윤리 강령
  • 로고
  • 기사
  • 전체 기사(최신순)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지면에 실리지 않은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
⟨노동자 연대⟩ 소개 | 전체 주제 |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정기구독 이용 약관 정기구독 비회원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
연락
대표전화 02-777-2792 기사제보 02-777-2791
팩스 02-6499-2791 이메일 ws@wspaper.org
주소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정기구독/후원
입금계좌
국민은행 020601-04-080896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발행인 김인식 편집인 김인식
사업자 등록번호 104-86-18859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등록일 2009년 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