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당내 정파와 분파주의

주대환 당 대표 후보는 당이 “정파로부터 독립돼 있어야 일을 잘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문성현 후보도 ‘대중 노선에 입각하지 않은 정파적 입장의 타파’를 외쳤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정파 자체라기보다는 다른 정파와의 경쟁심에 눈이 어두워져 사사건건 대립하거나 비협조적인 분파주의라 할 수 있다.

당 내에서 드러난 분파주의적 갈등과 대립은 많은 활동에서 그 해악적인 면을 드러냈다. 가장 두드러진 예로, 10월의 울산 북구 선거 때 자기 정파 후보가 아니면 힘을 싣지 않은 일이 벌어졌다.

분파주의가 낳은 폐해들 때문에 자민통 계열의 이용대 후보처럼 정파의 해소를 말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전진 그룹처럼 정파등록제를 제안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그런데 민주노동당 같은 정치조직에서 정파(또는 분파)는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당연한 현상이다. 지지하는 세력의 크고 작음을 떠나 모든 당원들은 자신들의 정견을 갖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정파를 해소하고 대동단결과 통일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당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견들을 해소하려는 시도는 비현실적이다. 대중 의식의 불균등성 때문에 생기는 견해 차이를 없애려는 시도는 관료적 비민주성으로 귀결되기 십상이다. 특히 당면 쟁점에 대한 충분한 토론과 논쟁 없이 그리고 소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권위와 힘으로 다수 의견을 강제하려 들어서는 안 된다.

전진 그룹을 포함한 당내 ‘범좌파’는 자민통 계열이 지지하는 정파 해소가 자신들을 겨냥하는 칼날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정파를 양성화하고 기정사실화하기 위해 정파등록제를 주장한다. 또한 ‘범좌파’가 당권을 장악하게 된다면 정파 등록제는 자신들이 다른 정파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당내에 존재하는 소위 ‘정파의 문제’(분파주의)를 해결하는 길은 정파등록제도 아니고 관료적 방식의 정파 해소도 아니다. 오히려 정파들이 음모적으로 쑥덕공론을 벌이지 말고 자신들의 입장을 밝히고 공개적으로 토론과 논쟁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토론을 통해 전략적 차이를 하나의 견해로 만든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지라도, 적어도 운동의 대의가 분명한 투쟁들에 대해서는 정치적 견해 차이를 떠나 동참하여 서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