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구글도 굴복시킨 중국의 방화벽

강력한 검색 기능과 자유주의적 태도로 전 세계 인터넷 사용자들의 환심을 사 온 검색 사이트 구글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월 24일 구글이 중국 정부가 요구한 검색 제한 조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제 중국판 구글(www.google.cn)에서는 “대만 독립”, “티벳 독립”, “톈안먼사태”, “파룬궁” 등의 단어로 검색을 하면 아무 것도 볼 수 없다. 심지어 “자유”와 “민주”라는 단어도 검색 금지 단어에 포함됐다.

구글이 제공하는 메일서비스(www.gmail.com)도 안 되고 웹로그나 채팅방도 만들 수 없다.

전 세계 언론을 떠들썩하게 만든 이번 사건은 몇가지 현실을 아주 잘 보여 준다.

먼저 중국이 “자유”와 “민주”와는 거리가 먼 사회라는 점이다. 이런 가치를 부정하는 “사회주의”는 사회주의가 아니다.

다음으로 인터넷 민주주의는 현실[오프라인]의 장벽을 간단히 뛰어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미 중국은 지난 몇 년 동안 이런 조처를 강제해 왔고 엠에스엔(MSN), 야후닷컴, 아메리카온라인(AOL)을 비롯해 1백30여 개의 검색 사이트 회사들이 자발적으로 이런 제한을 받아들여 왔다.

이런 제한을 거부해 온 구글은 중국 인터넷 시장에서 ‘바이두(百度)’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 왔는데 지난 2002년 9월 중국 당국의 검열로 2주간 접속이 차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이제 구글은 1억 명이 넘는 인터넷 이용자를 확보한 ‘인터넷 금광’ 중국을 마냥 지켜보고만 있을 순 없는 노릇이라고 털어놨다.

정보통신 산업도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하는 압력을 받으며 자유와 민주주의는 언제든 우선 순위에서 뒤로 밀려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글의 굴복을 두고 호들갑을 떠는 언론과 미국 정부의 위선이다.

미국 하원 인권코커스[하원의원들의 인권 연구모임]는 이 문제와 관련해 청문회를 열겠다고 으름장을 놓았지만 그 진실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미국 정부가 정보인권을 지키는 데 전혀 열의가 없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 등을 이유로 구글 등 인터넷 검색업체에 대해 검색엔진 사용자 기록을 내놓으라고 요구한 바 있다.

다만 미국 지배자들은 ‘브랜드 가치 세계 1위’ 구글의 굴복 선례가 “장차 외국기업이 중국 인터넷 시장에 진출할 때마다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파이낸셜 타임스〉 1월 24일치)이라는 사실에 심기가 불편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