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황석영 소설 ─ 《바리데기》(창비), 《개밥바라기별》(문학동네):
전쟁과 억압 속에 고뇌하는 청년들의 성장기

예술에서 재미는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환상에서 온다. 예술에서 의미는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진실에서 온다. 그렇다면, 예술에서 감동은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환상과 진실의 만남에서 온다. 작품이 환상이라는 불꽃을 달고 우주공간처럼 광활하고 복잡한 진실의 심장부를 탐험할 때 우리는 감동을 느낀다.

그런 감동을 느끼고픈 당신이 이 세상의 부조리가 유지되길 바라는 사람이 아니라면 황석영 소설 《바리데기》와 《개밥바라기별》을 읽어 보라고 말하고 싶다.

《바리데기》는 북한에서 태어난 주인공 바리가 중국으로, 영국으로 옮겨 다니며 겪는 이야기다.

북한에서 태어난 바리의 가족은 1990년대 중엽 불어 닥친 식량난 때문에 뿔뿔이 흩어진다. 바리는 아버지, 할머니, 바로 윗언니와 중국으로 탈북하지만, 굶주림과 추위로 나머지 가족을 모두 잃는다.

신비한 능력으로 살아남은 바리는 중국에서 고된 탈북자 생활을 하다 우여곡절 끝에 영국으로 밀항한다. 영국에서도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힘든 생활을 근근이 이어 간다.

파키스탄 이민 2세인 알리와 결혼을 하지만, 아프카니스탄 전쟁이 일어나 남편은 이슬람 동포들을 구하겠다며 참전한다.

소설은 바리가 세상을 돌면서 겪는 이야기와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지옥에 생명수를 구하러 떠나는 바리데기 전설을 엮으며 탈북자, 불평등, 전쟁과 같은 세상의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꿰뚫고 있다. 작가는 환상을 통해서 진실을 펼쳐내는 마법을 이 소설에서 부리고 있는 것이다.

지옥 같은 세계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하에서 노동계급의 현실을 단테의 지옥에 비유한 것처럼 황석영은 바리데기 전설을 통해 지금 이 세계를 지옥으로 묘사하고 있다. 동시에 바리데기가 생명수를 찾아 지옥의 갖가지 어려움을 헤쳐 나가듯 우리도 지옥 같은 세계를 구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현실에서 황석영이 생명수를 찾아가는 방식에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황석영이 최근 ‘촛불을 꺼야 한다’고 발언한 것은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이 소설이 주는 감동과 영감을 거부할 필요는 없다. 책 뒤에 실린 작가 인터뷰에서 이 세상의 생명의 길을 찾는 것을 독자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말한 것처럼 그것은 우리 스스로 찾아 나가면 된다.

《개밥바라기별》은 황석영이 《바리데기》 이후 젊고 어린 독자들이 생겼다는 것을 알고 그들과 얘기를 나누고 싶어서 쓴 소설이다.

“잘 나갈 때는 샛별, 저렇게 우리처럼 쏠리고 몰릴 때면 개밥바라기”라는 말처럼 이 소설은 세상에 쏠리고 몰린 주인공 준과 친구들의 슬프지만 아름다운 성장 이야기다. (소설 속에 등장하는 준은 작가의 어린 시절이기도 하다.)

준이 친구들과 집회에 나갔다 친구를 잃는 얘기, 권위적인 학교와 충돌을 벌이는 얘기, 이후 방랑의 길을 떠나는 얘기까지 등장인물들의 개인적 성장 얘기는 세상의 아픔을 겪어 나가는 얘기기도 하다.

이 소설은 한 예술가의 젊은 시절 자아와 세계의 충돌을 다룬 자전적 이야기라는 점에서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많이 닮았다. 그 젊은 시절 고민들은 이후 작가 인생 전체를 숙명처럼 따라다니게 된다. 조이스에게는 종교와 아일랜드의 현실이, 황석영에게는 시대의 아픔이 그랬다.

평범한 듯하지만 호흡을 한 번도 거스르지 않는 황석영의 유려한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당신은 뜨거운 인간애와 대면하고 있음을 느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