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 가기
  • 검색창 바로 가기
  • 메인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서브 내비게이션 바로 가기
  • 사이드바 바로 가기

노동자 연대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문재인 정부와 한국 정치
  • 홍콩 항쟁과 지지 운동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노동자 연대〉 페이스북 〈노동자 연대〉 트위터 〈노동자 연대〉 인스타그램 〈노동자 연대〉 유튜브 〈노동자 연대〉 텔레그램 알림 받기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구입처 안내
노동자 연대
등록일 2009년 1월 12일,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헤드라인
  • 기본입장
  • 한국 정치
  • 홍콩 항쟁
  • 노동자 운동
  • 국제
  • 경제
  • 차별
  • 집회소식
  • 추천 책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전체 주제
    • 갤러리
    • 추천 외부 글·영상
    • 독자편지
    • 독자편지/기고
    • 공개 토론회
정기구독 | 후원 | 지면 PDF | 지난 호 목록 | 새 기사 | 구입처 안내

MBC 신경민 앵커 교체: 이명박의 언론 탄압에 맞선 더 강력한 투쟁이 필요하다

박건희
레프트21 3호 | 2009-04-13
| 주제: 차별
제보 / 질문 / 의견 | 후원하기

결국 MBC 사측이 〈뉴스데스크〉 신경민 앵커를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8일 교체 소식이 알려지자 MBC 기자회는 즉각 비대위를 꾸려 제작 거부를, 라디오 PD들은 집단 연차를 내며 강력히 저항했다. 이에 MBC 사장 엄기영은 “심사숙고”하겠다며 교체 결정을 미루다 결국 “엠비 시키는대로” 진행자 교체를 결정했다. MBC 사측이 ‘정권에 부역하겠다는 항복 선언’(언론노조)을 한 것이다.

MBC 사측은 ‘시청률 제고’ 등의 이유를 들먹이고 있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을 사람은 없다. 신경민 앵커 때문에 시청률이 떨어졌다는 어떠한 증거도 없기 때문이다.

신경민 앵커 교체 뒤에는 너무나도 뻔히 보이는 정치적 압력이 존재한다.

그동안 신 앵커는 “김석기 믿어주는 검찰, 참 너그럽다” 하는 등 이명박에 비판적인 클로징 멘트로 많은 사람들의 속을 시원하게 해 줬다. 이 때문에 그는 이명박과 우파들에게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엄기영은 담화문에서 “정치적 압력에 의한 것이 아니다” 하고 해명했지만 설령 직접 ‘교체’하라는 압력이 없었다는 게 사실이라고 해도 이명박은 이미 수도 없이 강한 압력을 넣었다.

신경민 앵커가 진행하는 〈뉴스데스크〉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경고’ 징계를 받았다. 말 그대로 “앵커가 자신의 주관을 드러내지 않고 날씨 얘기나”(MBC기자회)하라는 것이다.

이미 지난 1월 신경민 앵커는 “오래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아요. 교체 명분은 시청률이 되겠지만 시청률은 늘 그만했으니 구실일 테고요”(〈씨네21〉)라며 정치적 압력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PD수첩〉에 대한 1년 가까이 계속되는 집요한 탄압과 낙하산 사장을 통해 KBS 〈시사 투나잇〉, YTN 〈돌발영상〉 등을 폐지한 것은 비판적인 프로그램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이명박의 분명한 메시지이자 압력이다.

더구나 최근 MBC는 광고매출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1분기 MBC의 광고 매출은 지난해에 비해 무려 41퍼센트, 9백14억 원이 감소했다. 이는 KBS의 22.1퍼센트, 2백63억 원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 수치다.

낙하산 사장의 안착으로 보신각 타종 행사 왜곡 연출 등 이명박 입맛에 맞는 방송을 한 KBS와 두 차례에 걸친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MB악법을 저지한 MBC의 어마어마한 광고 수입 차이는 ‘외압’의 심증을 갖게 한다.

진행자 교체 방침과 거의 동시에 MBC 사측은 1분기 적자가 2백50억 원에 달한다며 명예퇴직 단행, 각종 수당 삭감, 의무안식년제도 도입, 상여금 성과연동 지급으로 전환 등을 발표하고 2차 비상경영체제 돌입을 선언했다. 이는 2015년까지 인력 20퍼센트를 감축하겠다며 지난 2월에 발표한 구조조정 안을 구체화한 것이다.

MBC 노동자들은 〈PD수첩〉 제작진 체포 시도와 압수수색 협박, 진행자 교체 ‘외압’ 등 이명박의 탄압과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려는 사측의 탄압 모두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명박에 맞서 투쟁하는 것과 동시에, 권력에는 굴복하면서 노동자들에게는 구조조정의 희생을 강요하는 사측에도 단호히 맞서 싸워야 한다.

MBC노조는 기자회와 라디오 PD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제작 거부와 연차 투쟁을 전체 조합원의 파업으로 확대해야 한다. 〈PD수첩〉 탄압 때는 시사교양국 PD들이, 신경민 앵커 교체 건으로 보도국 기자들이, 김미화 교체 건으로 라디오 PD들이 따로 투쟁하는 것은 힘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효과적이지 않다.

이명박의 민주주의 파괴 ‘속도전’은 MBC 노동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모든 언론노동자, 더 나아가 모든 노동자들의 문제다. 비판 언론에 재갈을 물려 비판적인 목소리를 억누르려는 이명박의 시도는 집회?시위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공격과 맞물려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언론노조는 아무런 결정 권한도 없고 지지부진한 논의로 시간만 끌고 있는 미디어발전국민위를 탈퇴하고 전면적인 투쟁 건설에 나서야 한다.

민주노총은 정리 해고, 비정규직법 개악뿐 아니라 민주주의 파괴 시도 등 정신없이 몰아치는 이명박의 반동 ‘속도전’에 맞서 파괴력 있는 파업 투쟁을 건설해야 한다. 5월 1일 메이데이 집회는 그것을 선포하는 것뿐 아니라 실행에 옮기는 자리여야 한다. 그럴 때만 이 모든 악행의 주역, 이명박을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제보 / 질문 / 의견
구독 안드로이드 앱 텔레그램 봇
  • 페이스북
  • 트위터
  • 정기구독하기
  • 후원하기 (1천 원부터 가능)
독자·지지자들의 후원으로 운영하는 노동자 정치 신문 (기본입장)
정기구독 후원 1천 원부터
  • 지면 신문 구입처 보기 거리와 대학과 서점에서 〈노동자 연대〉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기사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안드로이드 페이스북 텔레그램
↑ 맨 위로 ↓ 기사에 의견 보내기

관련기사

검찰의 〈PD수첩〉 압수수색 시도: 불편한 진실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보복

2009-04-09
박건희

제보 / 질문 / 의견

  • 〈노동자 연대〉는 정부와 사용자가 아니라 노동자들 편에서 보도합니다. 활동과 투쟁 소식을 보내 주세요.
  • 간단한 질문이나 의견도 좋습니다. 맥락을 간략히 밝혀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은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편지란에 실릴 수도 있습니다.
전체 주제
  • 제국주의
  • 한반도 주변정세
  • 경제
  • 공식정치
  • 일반적인 정치
  • 차별
  • 민주적 권리
  • 국제
  • 노동자 운동
  • 개혁주의
  • 좌파
  • 이론
  • 전략·전술
  • 역사
  • 기타
  • 노동자 연대
  • 소개
  • 기본입장
  • 로고
  • 윤리 강령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기사
  • 전체 기사
  • 새 기사
  • 꼭 봐야 할 글
  • 〈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 기사 묶음
  • 종이 신문 구독
  • 정기구독
  • 구입처 안내
  • 온라인 구독
  • 페이스북
  • 안드로이드 앱
  • 트위터
  • 텔레그램 알림
  • RSS (전체 기사)
  • RSS (온라인 기사)
  • 쓰기
  • 독자편지/기고
  • 구독정보 수정/구독불편 접수
  • 웹사이트 오류신고/제안
  • 후원/알리기
  • 일시 후원
  • 정기 후원
  • 웹 홍보 소스
  • 장르
  • 성명
  • 논쟁
  • 논평
  • 칼럼
  • 독자편지
  • 인용
  • 서평
  • 리뷰
  • 사진
  • 만평
  • 강연
  • 평가
  • 분석
  • 인터뷰
  • 기념
  • 전기
  • Q&A
  • 부고
  • 책 광고
  • 일정
  • 카드뉴스
  • 집회 소식
  • 코너
  • 이렇게 생각한다
  • 누구의 말일까요?
  • 99퍼센트의 눈
  • 소식/보고
  • 꼴라주
  • 인터랙티브 뉴스
  • “박근혜는 퇴진하라!”, 133일의 기억
  • 연락
  • 대표전화: 02-777-2792
  • 기사제보: 02-777-2791
  • 팩스: 02-6499-2791
  • 이메일: ws@wspaper.org
  • 주소
  • (우: 04710)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363-1 4층 (지번: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46-16 4층)
  • 정기구독/후원 입금 계좌
  • 국민은행 020601-04-080896
  • 농협 301-0010-1643-71
  • 예금주: (주)레프트미디어
  • 발행인: 김인식
  • 편집인: 김인식
  • 사업자등록번호 104-86-18859
  • 신문사업등록번호 서울다08179
  •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중구-0370호
  • 등록일 : 2009년 1월 12일
  • Copyright (c) wspaper.org All rights reserved
  • (주)레프트미디어 대표 김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