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다윈 이후》 (스티븐 J. 굴드, 사이언스북스):
다윈주의에 대한 오해를 걷어낸 최상의 과학서

올해는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로버트 다윈이 탄생한 지 2백 주년이 되는 해다.

최근 다윈 출생 2백 주년을 맞아 출생지인 영국에서는 다윈의 진화론을 재조명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고 버스광고에 진화론과 창조론을 옹호하는 광고가 경쟁적으로 부착되면서 해묵은 진화론과 창조론 사이의 논쟁이 불붙는 듯 보였다.

고생물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는 《다윈 이후》를 통해 진보주의적 진화론을 극복하며 진화론의 대중화를 이끄는 데 기여했다.

굴드는 “다윈에 대한 오해는 1백 년이면 족하다”는 논쟁 글을 인용하면서 다윈의 진화론을 옹호한다.

더 나아가 19세기와 20세기에 문화·사회적 편견 속에서 다윈의 사상이 어떻게 왜곡됐는지를 철저하게 파헤쳤다. 또한 사회생물학의 맹점을 다윈의 시각으로 설명하며 진화란 진보가 아니라 다양성의 증가일 뿐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굴드는 인간이 진화의 최고 정점이며 진보된 하나의 증거라고 하는 상식을 비웃는다.

“호모사피엔스인 우리는 기초로부터 시작해 고상한 정점에 이르는 진화의 사다리에서 미리 예정된 최종적인 걸작품이 아니다. 단지 무수하게 가지치기를 해 온 진화의 관목에서 제대로 자라는 데 성공한 하나의 가지에 불과한 것이다” 하고 주장한다.

이어 “인간과 다른 동물 사이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우리들의 자세와 다른 동물에 대한 인간의 우월성을 확신시켜 줄 수 있는 어떤 기준을 찾고자 하는 우리의 열렬한 노력”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커다란 벽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한다.

생물학적 결정론

인간의 행동을 선천적인 생물학적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던 과거에는 인간은 처음부터 그렇게 만들어졌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아니 편리했다고 말하는 것이 옳겠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와 과학과 문화에서 생물학적 결정론을 극복하려는 운동이 일어났다. 즉, 인간은 학습을 통해 유전적인 경향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노골적인 인종차별주의를 부추기는 생물학적 결정론이 홍수를 이뤘다.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형질에는 직접적이고 유전적인 기반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이용해 ‘흑인들에게 유아적인 특성이 있다’, ‘가난하게 태어날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폭력적’이라는 등의 생물학적 결정론이 득세했다.

스티븐 J. 굴드,《다윈 이후》, 사이언스북스, 2만 원, 432쪽 ● 구입하기

그러나 굴드는 이러한 생물학적 결정론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리고 인간본성과 지능지수의 상관관계를 증명하려고 했던 과학자들이 제시한 예들이 현실에서 아무것도 입증하지 못했음을 강조했다.

“생물학적 결정론은 책임을 이른바 우리의 육식성 조상들에게 떠넘길 수 있다니 얼마나 속 편한 일인가? 가난한 사람과 굶주린 사람들에 대한 책임을 그들의 태생 조건에 돌릴 수 있다니 이 또한 얼마나 편리한가? 따라서 우리는 이 사회가 모든 인간에게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데 철저하게 실패한 책임을 우리 사회의 경제 체제나 정부에 물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책은 인종에 대한 불필요한 구분, 지능지수 검사의 불순한 의도, 유전자가 미래를 결정한다는 불쾌한 생물학적 결정론을 통쾌하게 논박한다. 또한 유쾌한 과학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수많은 자료들로 가득하다. ‘일찍 태어나는 아기’, ‘아일랜드 엘크의 멸종 원인’, ‘파리의 모체 살인’, ‘대나무와 매미의 주기성’ 등 흥미로운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종교적·사회적·문화적 편견 속에서 질식당하는 진리들을 세상 밖으로 끌어내려 하고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들에게도 과학적 상상력과 무한한 자극을 주는 이 책의 매력에 흠뻑 빠져 보자.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