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외국인보호소 ‘새우꺾기’ 고문 피해자, 국가 배상 소송 제기

12월 16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열린 화성외국인보호소 ‘새우꺾기’ 고문 사건 국가 배상 소송 제기 기자회견 ⓒ출처 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12월 16일 화성외국인보호소 ‘새우꺾기’ 고문 피해자 M 씨가 법무부를 상대로 3500만 원의 국가 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외국인보호소는 강제 추방을 앞둔 미등록 이주민을 출국 전까지 구금하는 시설이다.

모로코인 난민 M 씨는 언어 소통 등의 문제로 체류 기간 연장 기한을 놓쳐 지난해 3월 화성보호소에 구금됐다.

M 씨는 보호소의 열악한 처우와, 외부 병원에서 진료받게 해 달라는 요청이 거부당한 데에 항의했다. M 씨는 극심한 치통에 시달리다 샴푸 두 병을 마시는 ‘난동’을 부리고 나서야 병원에 가서 발치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보호소 측은 M 씨를 계속 괴롭혔다. M 씨는 12차례에 걸쳐 총 두 달가량 독방에 구금됐는데, 그중에는 11일에 걸쳐 꼬박 갇힌 적도 있었다.

M 씨가 계속 항의하자 보호소 측은 M 씨에게 ‘새우꺾기’ 고문을 여러 차례 가했다. ‘새우꺾기’ 고문은 배를 바닥에 댄 채 수갑과 포승을 이용해 등 뒤로 사지를 연결해서 포박하는 것인데, 보호소 측은 이 자세로 M 씨를 최소 20분에서 최대 3시간 이상 방치했다.

심지어 이 상태에서 ‘머리보호장비’를 씌우고 벗겨지지 않게 박스 테이프와 케이블 타이 등으로 고정하기까지 했다. 머리보호장비는 말이 ‘보호장비’이지 얼굴을 심하게 압박해 숨도 쉬기 어렵게 하는 사실상 고문 장비다.

그런데도 보호소 측은 오히려 M 씨를 기물 파손과 공무 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적반하장이 따로 없다.

화성외국인보호소에서 ‘새우꺾기’ 고문을 당하는 난민 M 씨 ⓒ제공 화성외국인보호소면회시민모임 마중

2021년 9월, M 씨를 지원해 온 이주·인권 단체들이 ‘새우꺾기’ 고문을 폭로하자 사회적 공분이 일었다. 이 때문에 법무부는 자체 진상 조사를 하고 인권 침해 사실을 인정해야 했다.

그러나 법무부는 그후 무려 5개월 동안이나 M 씨를 석방하지 않았다. 자신을 고문한 보호소 직원들의 감시·통제하에서 하루하루를 보내야 했던 M 씨의 고통은 이루 헤아리기 어렵다.

보호소 측은 M 씨를 고발하기까지 했다. 폭로에 대한 보복성 고발인 것이다.

M 씨가 약 보름간 단식 투쟁을 벌이고, M 씨를 지원하는 단체들이 연대 캠페인과 항의를 벌이고,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이 나오고 나서야 법무부는 올해 2월 8일 M 씨를 석방했다.

보복

석방된 후에도 M 씨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여전히 미등록자 신분이기 때문이다. 12월 16일 기자회견에서 M 씨는 석방 이후의 삶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일할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를 박탈당했습니다.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여권도, 외국인등록증도 없습니다. 제 이름으로 주거 계약도 할 수 없어서, 새 여권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은행 계좌도 개설할 수 없고 은행 카드도 없습니다. 휴대폰 개통도 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을 자유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고문과 차별의 연장선입니다. … 저에게는 이곳이 하늘이 열린 감옥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M 씨는 화성보호소 측의 고소·고발 때문에 경찰서와 검찰청에서 수차례 조사를 받아야 했다고 한다. 대부분의 혐의에 불기소·기소유예 처분이 내려졌지만, 보호소 측은 항고하며 M 씨를 괴롭혔다.

“매 조사 때마다 고문이나 다름없는 상황을 다시 겪어야 했습니다. 제가 트라우마 치료와 심리상담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전국의 외국인보호시설에 연간 3만 명 가까운 이주민이 구금된다. 다수는 10~25일 정도 구금된 뒤 출국되지만, 3개월 이상 장기 구금되는 이주민도 월 평균 233명에 이른다(2021년 기준).

쇠창살이 쳐진 보호실은 1인당 평균 공간이 1.84평에 불과하고, 약 15명이 한 방에서 화장실 하나를 두고 생활한다. 마치 수형자처럼 등에 “보호외국인”이라고 적힌 보호복을 입히고, 민사 재판에 출석할 때도 수갑을 채워 호송해 법정에서야 풀어 주는 등 모욕적으로 대우한다.

M 씨처럼 보호소 직원들에게서 물리적 폭력을 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시리아인 난민인 파두 씨는 올해 4월까지 화성보호소에서 22개월 동안 불법 구금당한 채 고문과 폭력을 당했다. 올해 3월 본지를 통해 여수외국인보호소의 열악한 처우를 폭로한 이집트인 난민도 소지품 반환을 요구하다 직원들에게서 폭행당했다.

M 씨의 국가 배상 요구는 너무나 정당하다. M 씨가 이번 소송에서 이긴다면, 법무부와 보호소 당국의 파렴치한 행태에 제동을 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재판부는 M 씨의 손을 들어 줘야 한다.

내년 3월부터 외려 결박 장비 늘리는 법무부

한편, 법무부는 ‘새우꺾기’ 고문을 반성하기는커녕, 외국인보호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박 장비를 늘리기로 했다.

현재 외국인보호소에서는 수갑, 밧줄형 포승, 머리보호장비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내년 3월부터 시행 예정인 외국인보호규칙 개정령을 보면 수갑·머리보호장비는 유지되고, 밧줄형 포승은 상체용 벨트형, 하체용 벨트형, 조끼형으로 세분화돼 오히려 결박 장비의 개수가 늘었다. 이중 하체용 벨트형 포승은 교도소 등 교정 시설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장비다.

게다가 이번 개정령은 여러 결박 장비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하체용 벨트형 포승 등을 동시에 사용하면 사실상 전신을 결박할 수 있다.

행정 규제를 어겼을 뿐인 미등록 이주민을 야만적으로 억압하겠다는 것이다.

법무부는 이런 개악안을 입법예고 절차도 거치지 않고 공포해 버렸다. 지난 5월 더 많은 종류의 결박 장비를 포함한 안을 입법예고 했다가 논란이 일자, 법무부 장관 한동훈이 전신 결박 의자와 족쇄 등 가장 야만적인 장비 몇 개를 제외하라고 직접 지시해야 했던 것을 의식했을 것이다.

외국인보호소 내 가혹 행위를 합법화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이 개정령은 철회돼야 한다.

주제